Notice
Recent Posts
Recent Comments
Link
«   2025/04   »
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15 16 17 18 19
20 21 22 23 24 25 26
27 28 29 30
Archives
Today
Total
관리 메뉴

DDOLKONG

미국의 관세 부과에 따른 캐나다 자동차 산업 영향 및 전망 본문

투자

미국의 관세 부과에 따른 캐나다 자동차 산업 영향 및 전망

DDOL KONG 2025. 4. 10. 03:08

자동차 부품 캐나다-미국 국경 8회까지 넘나들어, 복잡하게 얽혀있는 양국 자동차 공급망
캐나다, 미국 자동차에 25% 보복관세 부과, 장기적 관점에서 공급망 다변화 도모


2025년 4월 2일, 미국 정부가 수입차에 대해 25%의 관세 부과를 발표했다.  트럼프 대통령이 캐나다산 자동차 부품에도 25% 관세를 5월 3일부터 부과하겠다며 사전 예고한 만큼, 북미 자동차 공급망 전반에 광범위한 영향을 미칠 것으로 보인다. 지난 수십년간 NAFTA와 USMCA 체제를 기반으로 정교하게 구축되어 온 캐나다-미국 간 자동차 생산·조달 시스템은 이번 조치로 인해 연결성에 균열이 생겼으며, 주요 수출 시장에 대한 접근성 자체가 제약받는 위기에 놓였다. 이로 인해 단순한 물류 지연을 넘어, OEM 및 부품업체들이 조달 전략과 생산 체계를 전면적으로 재검토해야 하는 공급망 재구성의 시대로 진입하고 있다.

캐나다 자동차 산업 및 북미 공급망 구조 분석

2024년 캐나다 자동차 산업은 구조 전환기의 특성을 보였다. 2024년 캐나다의 자동차 생산은 전년 대비 11.1% 감소했으며, 자동차 부품 생산도 9.4% 감소해 각각 551억 캐나다달러, 337억 캐나다달러 규모를 기록했다. 캐나다에서 생산된 자동차의 80% 이상이 미국으로 수출되므로 생산 감소의 주요 원인으로는 미국의 수요 감소에 따른 OEM의 리툴링 및 전기차 전환으로 인한 일시적 생산 차질이 꼽힌다. 이렇듯 캐나다 자동차 산업은 미국 시장과 밀접하게 통합되어 있으며, 공급망 충격 발생 시 즉각적인 영향을 받는다고 볼 수 있다.

한편, 2025년 1월 트럼프 대통령의 취임 이후 자동차를 비롯한 캐나다 산업 전반에 대한 미국의 관세 위협이 리스크로 떠올랐다. 2025년 1월, 자동차 및 부품 수출은 전월 대비 12.5% 증가했으며, 특히 승용차 및 트럭 수출은 17.1% 상승하여 61억 캐나다 달러의 수출액을 기록했는데, 이는 2019년 5월 이후 최고 수준이다. 이는 기업들이 관세 시행 전 재고 물량을 미리 출하한 영향으로 분석되며, 단기 선행 수요에 불과하다는 평가가 지배적이다.  

<캐나다 승용차 및 트럭 수출액 추이>


캐나다의 자동차 공급망은 전형적인 3단계 Tier 구조를 기반으로 구성되어 있다. Tier 3는 철강, 알루미늄, 플라스틱 등의 원자재 공급자층으로, 대부분 광산·제련업체로 구성된다. 이들은 Tier 2에 의해 엔진 부품, 차체 프레임, 브레이크 시스템 등 중간재로 가공되며, Tier 1에서는 이를 통합해 배터리 모듈, 파워트레인, HVAC 시스템 같은 고부가가치 시스템 단위 부품으로 조립하여 OEM에 납품한다. 캐나다에서는 마그나(Magna), 리나마(Linamar), 마틴레아(Martinrea) 등이 대표적인 Tier 1 글로벌 공급사이며, 다수의 하위 공급자와 유기적으로 연결된 생산망을 유지하고 있다. 이러한 고밀도적 분업 체계는 효율성을 높이는 한편, 특정 병목 구간의 차질이 전체 공급망을 흔들 수 있는 리스크도 동시에 내포하고 있다.

<캐나다 자동차 산업 공급망 구조>


캐나다와 미국 간 자동차 산업의 통합도는 세계적으로 가장 높은 수준으로 여겨진다. 특히 북미 자동차 공급망은 부품이 캐나다-미국 국경을 7회까지도 넘나들며 가공 및 조립되는 고도로 통합된 구조를 갖고 있다. 예를 들어, 캐나다 부품사인 리나마(Linamar)가 생산하는 변속기 모듈은 캐나다 온타리오주 궬프(Guelph)에서 출발한 고철이 미국에서 제련되어 허브로 가공되고, 멕시코에서 알루미늄 하우징이 추가된 뒤 캐나다에서 부분 조립되어 다시 미국으로 운송된 후 최종 완성된다. 이후 완성된 부품은 다시 캐나다로 돌아와 차량에 장착되고, 차량은 다시 미국 시장으로 수출되는 구조다. 이처럼 국경 간 다단계 이동이 전제된 공급망은 비용 효율성과 기술 분업의 장점을 제공하지만, 정책 변화나 운송 장애, 관세 부과 등 외부 충격에 매우 민감하게 반응하는 구조적 한계를 갖고 있다.

<Linamar변속기 모듈의 여정>


USMCA 규정 변화와 북미 공급망 재편

2020년 7월 발효된 미국·멕시코·캐나다 협정(USMCA)은 기존 NAFTA를 대체하면서, 북미 자동차 공급망 구조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는 강화된 원산지 규정을 도입했다. 핵심 조항으로는 자동차 및 주요 부품의 75% 이상을 북미 지역에서 생산해야 무관세 혜택을 받을 수 있도록 한 지역 가치 함유율(RVC, Regional Value Content) 조건이 있으며, 이는 NAFTA 시절의 62.5%보다 크게 상향된 수치다. 여기에 더해 전체 차량 원가 중 40~45%는 시간당 16달러 이상의 고임금 노동자에 의해 생산된 부품으로 구성돼야 한다는 노동 가치 조건도 부과됐다. 이와 같은 규정은 단순히 관세를 회피하는 수준을 넘어, OEM의 생산 전략, 부품사 간 경쟁 구조, 공급망 내 기업의 생존 조건을 바꾸는 제도적 압력으로 작용했다. 특히 복잡하게 얽힌 북미 내 부품 이동 경로를 고려할 때, 해당 기준을 충족시키는 것이 중요했고, Tier 1, Tier 2 공급사는 매우 구체적인 조달 구조 재설계가 필요했다.

캐나다 부품업체들은 이러한 규정 강화 속에서 미국 내 리쇼어링 흐름에 대응하기 위해 조달 안정성과 원산지 추적 역량을 강화했다. 공급망 구조 변화는 캐나다 부품사에 기회를 제공함과 동시에, 한국을 포함한 비북미 국가 공급사에게는 기준 충족 부담으로 작용하고 있다. 특히 미국 측에서 OEM에 원산지 증빙 및 부품단가 분석 요구를 강화하면서, Tier 2~3 공급사의 실질적 공급 장벽도 높아졌다. 결과적으로 USMCA는 단순한 협정이 아니라, 자동차 산업의 생산지와 부품구성 방식을 동시에 재편하는 산업 설계 메커니즘으로 기능하고 있다.

<USMCA 원산지(RVC) 기준 강화 비교표>


25% 관세 부과에 따른 캐나다 자동차 산업 영향 분석

2025년 4월 2일,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은 캐나다산 자동차에 대해 25%의 고율 관세를 부과하겠다고 발표하며, 북미 자동차 산업 전반에 커다란 충격을 던졌다. 미국 연방정부 관보(Federal Register)에 따르면 차량에 대한 관세는 4월 3일 자정부터 부과되며, 부품에 대해서는 5월 3일부터 시행될 예정이라고 공개된 바 있다. 이는 지난 수십 년간 긴밀히 통합되어온 북미 자동차 공급망 전체를 뒤흔드는 조치로 평가된다. 여기에서는 자동차 및 부품에까지 25%의 관세가 부과될 경우를 전제로 그에 따른 캐나다 자동차 산업의 영향에 대해 분석해보려고 한다.

(1) 차량 가격 상승
JD 파워는 캐나다 내 신차 가격이 평균 6000달러 상승할 수 있다고 분석했으며, 골드만삭스 및 구겐하임도 차량당 5000~1만5000달러의 추가 비용을 경고했다. 픽업트럭 등 고가 차량은 최대 8000달러 이상 오를 가능성이 있으며, 이는 중고차 시장까지 자극해 광범위한 연쇄 효과를 일으킬 전망이다.
TD 이코노믹스의 비아타 카란치(Beata Caranci) 수석 이코노미스트는 온타리오주가 가장 큰 영향을 받을 지역이라고 밝혔다. 전체 수출 중 약 30%가 자동차 산업에 기반하며, 약 10만 개의 일자리가 직접 연결돼 있다는 점에서 관세 충격이 집중될 가능성이 크다는 것이다. “포드 F-시리즈와 같이 북미 부품 이동이 반복되는 차량의 경우, 단일 모델에서도 최대 5000캐나다 달러의 가격 인상 요인이 생길 수 있다”고 분석했다.

(2) 생산 축소 및 일자리 감소
캐나다의 생산 현장 역시 심각한 타격이 본격화되고 있다. 북미 자동차 산업은 부품이 국경을 수차례 넘나드는 고도로 통합된 시스템에 기반하고 있으며, 이로 인해 국경 간 흐름이 차단될 경우 단기간 내 운영 혼란이 불가피하다. 에릭 존슨(Erik Johnson) BMO 이코노믹스 수석 이코노미스트는 “이번 조치가 장기화될 경우 북미 자동차 산업은 심각한 혼란에 직면하게 될 것”이라며, “생산 축소와 감원이 4월 초부터 본격화될 가능성이 높다”고 경고했다.

글로벌 완성차 기업 스텔란티스(Stellantis)는 4월 3일, 자동차 관세의 직접적 여파로 캐나다 윈저 조립공장과 멕시코 톨루카 조립공장의 생산을 일시 중단한다고 공식 발표했다. 윈저 공장은 크라이슬러 퍼시피카 미니밴, 닷지 차저 데이토나 전기차를 생산하는 핵심 기지로, 4월 7일부터 2주간 가동을 멈출 예정이다. 이에 따라 약 3600명의 근로자가 영향을 받게 된다. 멕시코 톨루카 공장 또한 4월 한 달간 생산을 중단하며, 지프 컴패스와 지프 왜고니어 S 전기차 등의 공급에도 차질이 예상된다. 스텔란티스 북미 총괄 안토니오 필로사(Antonio Filosa)는 “이번 생산 중단은 중장기 전략 재조정의 일환이며, 단기적으로는 가용 자원과 생산 구조를 재검토하는 과정”이라고 밝혔다.

이로 인해 북미 전역에서 약 900명의 파워트레인 및 스탬핑 부문 미국 내 직원들이 일시 해고 조치에 들어갔으며, 캐나다와 멕시코 조립공장의 수천 명 노동자도 동일한 영향을 받고 있다. 캐나다 최대 자동차 노동조합 유니포(Unifor) 라나 페인(Lana Payne) 회장은 “윈저 현장을 포함한 광범위한 부품 및 조립 라인에 영향을 미칠 것”이라며, 향후 추가 중단 가능성도 배제할 수 없다고 경고했다.

이러한 상황은 북미 공급망 전체에 걸쳐 연쇄 파급 효과를 일으킬 가능성이 높으며, 단순한 감산을 넘어 고용 불안, 부품 수급 차질, 완성차 공급 감소 등 전방위적 충격으로 확산될 수 있다. 특히 대부분의 캐나다 내 완성차 조립공장이 미국 수출을 기반으로 설계되어 있는 만큼, 단기간 내 대체 수출 시장 확보나 생산지 전환도 현실적으로 쉽지 않다.

(3) 수출 감소
미국의 25% 관세 부과 결정은 캐나다 자동차 산업의 핵심 수출 채널에 직접적인 타격을 가할 것으로 전망된다. 옥스퍼드 이코노믹스(Oxford Economics)는 이번 조치로 인해 2025년 한 해 동안 캐나다의 대미 자동차 수출이 최소 6%, 최대 12% 감소, 이는 5억5000만~11억 캐나다달러의 손실로 이어질 수 있다고 분석했다. 이는 단순한 수치 이상의 의미를 가지며, 2023년 캐나다 전체 자동차 수출(510억 CAD) 중 93%가 미국 시장에 집중되어 있다는 점을 고려할 때, 단기적 충격을 넘어 수출 구조 전반의 재조정 압박으로 이어질 수 있다. 고부가가치 부품군의 경우, 관세 적용 대상이 명확하지 않다는 점도 현장의 불확실성을 키우고 있다.

업계와 협회들은 관세가 본격적으로 시행되는 4월 이후부터 캐나다산 차량의 경쟁력 약화, 미국 OEM의 발주 축소, 공급망 재편 등 실질적 수출 위축 현상이 가시화될 것으로 보고 있다. 이에 따라, 수출 중심의 자동차 산업 구조를 유지하기 위해서는 USMCA 기준 완화 협상, 대체시장 확대, 기술집약형 부품 수출 전환 등의 대응 전략이 절실하다는 지적이 제기되고 있다.

(4) 장기 거시경제 영향
스티븐 브라운(Stephen Brown), 캐피털 이코노믹스의 북미 전문가는 거시경제 차원의 장기 영향을 경고했다. 그는 “캐나다 수출업체들이 직면할 평균 관세율 상승은 경기를 침체 국면으로 밀어 넣을 수 있으며, 회복은 정부의 재정정책에 달려 있다”고 전망했다. 특히 그는 “이번 충격은 잠재 GDP에도 부정적 영향을 주며, 향후 3년간 캐나다의 평균 성장률은 2025년 1.2%, 2026년 0.7%, 2027년 1.4% 수준으로 둔화될 것”이라고 내다봤다. 다만 탄소세 철회 등의 물가 억제 효과 덕분에 기준금리를 2.0%까지 인하할 여지가 있다는 점에서 통화 대응 가능성은 여전히 존재한다고 분석했다.


캐나다 정부 및 산업계 반응

2025년 4월 3일, 마크 카니(Mark Carney) 캐나다 총리는 긴급 기자회견을 열고 미국의 자동차 관세 부과에 대한 정부 차원의 대응 조치를 공식 발표했다. 그는 즉각적인 보복 조치로 미국산 완성차 중 USMCA 비준수 차량에 대해 25%의 보복관세를 부과한다고 밝혔으며, 부품은 통합 공급망 보호를 위해 일단 제외하되 향후 협상 경과에 따라 조정 가능성을 열어두었다. 동시에 20억 캐나다달러 규모의 전략 대응 펀드를 가동해 자동차 산업의 경쟁력 제고와 고용 유지에 집중 투자하겠다고 밝혔다. 카니 총리는 "캐나다는 외부 충격에 굴하지 않고 회복력 있는 산업구조로 전환할 준비가 되어 있다"고 강조했으며, 향후 미국과의 무역관계 재조정 가능성과 다자주의 중심의 무역 동맹 확대 방침도 함께 시사했다.

데릭 홀트(Derek Holt), 스코샤뱅크 자본시장 부문 부사장은 캐나다의 대응전략 필요성을 강조했다. 그는 “미국은 수십 년간 자국 내 자동차 기업 유치를 위해 대규모 주정부 보조금을 제공해왔으며, 이번 조치 역시 자국 산업 보호에 따른 연장선”이라며, “캐나다는 950억 달러 규모의 보복관세 여력을 갖고 있으며, 군수장비 조달 변경, 특정 미국 브랜드에 대한 수입금지 등 전방위적 대응이 가능하다”고 밝혔다. 그는 “무역전쟁은 승자가 없지만, 고통을 조기에 가시화시켜야 조속한 종식이 가능하다”고 주장했다.

미국의 관세 조치가 제조업체의 ‘공장 이전’을 유도하려는 의도라는 분석이 나오고 있지만, 캐나다 자동차 업계는 단기적 생산 이전이 불가능하다는 입장을 분명히 하고 있다. 플라비오 볼페(Flavio Volpe) 캐나다 자동차부품제조협회(APMA) 회장은 “조립 공장을 옮긴다는 건 이론적으로 가능할지 몰라도, 실제로는 최소 3~5년이 걸리고 수천 명의 숙련 인력을 재배치해야 한다. 정치적 구호로는 들리지만, 현실적으로 불가능한 이야기”라고 말했다.

린다 하젠프라츠(Linda Hasenfratz) 리나마(Linamar) 회장은 3월 실적 발표에서 “우리 공장은 여전히 주문을 받고 있으며, 단기적인 정책 변화에 따라 생산지를 급히 옮기는 건 비현실적이다”고 지적했다. 그는 북미 자동차 산업이 수십 년에 걸쳐 Just-in-Time 기반의 고도화된 공급망을 구축해 왔으며, 이 체계를 단기간에 해체하는 것은 엄청난 혼란을 초래한다고 경고했다.

윈저 지역의 중소 부품업체 라넥스(Lanex)의 임원 랜 엑스(Lane)는 지역적 현실을 설명했다. “윈저는 처음부터 미국과의 국경을 넘는 공급 흐름을 전제로 경제 구조가 만들어졌고, 이 시스템은 단순히 부품이 오가는 경로가 아니라 도시의 생존 기반이다.” 그는 이어 “자동차 산업은 25% 마진을 기대할 수 있는 구조가 아니며, 이 정도 관세는 업계 대부분에게 손실로 직결된다”고 말했다.


캐나다 자동차 산업 공급망 재편의 움직임

카니 총리는 “평균 6회 이상 국경을 넘는 현재의 공급망 구조는 무역 경쟁 하에서 치명적인 취약점”이라며, 부품 조달부터 조립까지 국내 중심의 All-in-Canada 생산 체계를 추진하겠다고 밝혔다. 이처럼 최근 캐나다 정부와 산업계는 미국 의존도를 줄이기 위한 노력과 더불어 유럽, 아시아 시장으로의 전략적 공급망 재편을 꾀하고 있다.

리나마(Linamar)는 11억 캐나다달러 규모의 전기 파워트레인 개발 투자에 나서며, 기술 경쟁력 확보와 북미 외 수요처 확대를 병행하고 있다. 혼다 캐나다는 온타리오 앨리슨 공장에 150억 캐나다달러를 투자하며, 관세 상황과 무관하게 캐나다 내 생산기지를 유지하겠다고 밝혔다. 현지 언론에 따르면, 한국과 미국 기업이 온타리오주에 위치한 공장에서 전기 상용밴을 공동 생산하는 협업 방안을 검토 중이며, 이를 통해 북미 내 생산 요건을 충족하면서도 관세 부담을 줄이려는 움직임이 나타나고 있다. 업계는 생산이전을 피하고, 현지 투자와 기술 협업을 통해 구조적 대응을 모색하고 있다.

플라비오 볼페(Flavio Volpe) 캐나다 자동차부품협회(APMA) 회장은 “트럼프 행정부의 일방적 관세 정책은 미국과 캐나다 모두에 손실이며, 캐나다는 이제 기술 기반의 아시아 파트너들과의 협력이 불가피하다”고 강조했다.

캐나다 정부도 아시아 시장과의 전략적 교류 확대를 적극 추진하고 있다. 2025년 5월, 온타리오 정부는 일본 요코하마에서 열리는 JSAE 2025에 맞춰 자동차 수출 사절단(Automotive Export Business Mission)을 파견하여 일본과 한국 자동차 기업과의 B2B 파트너십 구축을 적극 지원할 계획이다. 사절단에는 전기차, 자율주행, 배터리, 자동차 부품 등을 다루는 기업들이 참가할 예정이며, 5월 26일에는 서울 캐나다 대사관에서 한국 기업과의 비즈니스 미팅을 가질 예정이다.

시사점

미국의 25% 관세 부과는 북미 자동차 산업 내 오랜 기간 구축돼 온 통합 공급망을 강제적으로 재편하는 트리거가 되고 있다. 특히 캐나다는 미국산 부품에 대한 의존도가 높고, 자국 OEM과 부품사 대부분이 미국 수출을 전제로 설계돼 있어, 이번 조치가 단순한 통상 마찰을 넘어 산업 설계 수준의 구조적 충격을 초래하고 있다. 관세는 차량 가격 인상을 불러오며 소비자 수요 위축을 야기하고, 부품 흐름 단절은 생산 차질로 이어져 특히 온타리오주를 중심으로 한 제조업 지역에 실질적인 고용·투자 리스크가 발생할 가능성이 크다.

캐나다 정부의 25% 보복 관세 부과라는 강경 대응 기조가 이어지고 있는 가운데, 당분간 혼란한 상황이 지속될 것으로 보인다. 이에 USMCA 충족 기준 등을 면밀히 검토하고 정책 변화를 신속하게 모니터링할 필요가 있다. 아울러 캐나다 기업들의 캐나다 내부 투자, 거래선 다변화 수요를 포착한다면, 캐나다의 전략적인 자동차 산업 및 공급망 구조 변화에 동참할 기회가 될 수도 있다.


https://dream.kotra.or.kr/dream/kotra/actionKotraShortUrl/bbKIxAixep4j.do

Commen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