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DOLKONG
중동 의료 허브, UAE 의료기기 시장 동향과 진출 전략 본문
목차
제1장 UAE 의료기기 시장 개요 및 최신 동향
제1절 UAE 의료산업 현황 및 주요 정책 변화
제2절 의료기기 시장 규모 및 전망
제3절 주요 의료기기 제품 판매 동향 분석
제2장 UAE 의료기기 관련 정책 및 경쟁 환경
제1절 UAE 주요 규제기관 개요
제2절 의료기기 인허가 및 등록 절차
제3절 의료기기 시장의 주요 기업 현황
제4절 정부 지원 및 현지 생산 장려 정책
제3장 우리 기업의 UAE 시장 진출 기회 및 전략
제1절 최신 정책 변화에 따른 시장 기회 및 도전과제
제2절 우리 기업 진출 현황과 전략적 진출 방안
제3절 시장 진출을 위한 최종 제언
요약
◦ UAE의 의료기기 시장 규모는 2024년 약 12.4억 달러로, 2028년까지 14.7억달러, 연평균 4.3%의 성장을 보일 전망. 주요 성장 요인으로는 (1)정부의 의료산업 적극적 투자, (2) 의료 허브로서 의료관광 확대, (3) 디지털 헬스케어 및 AI 적극 도입, (4) 민간 의료 부문 투자 증가
◦ 의료기기 핵심 제품군을 의료기기 전체 비중으로 보면 영상진단(23.8%), 의료소모품(17.3%), 환자보조기기(10.7%), 정형외과 및 보철(6.2%), 치과제품(5.3%) 순
◦ '24년 UAE 의료기기 제품별 수입 동향으로는 수입규모 3.3억 달러로 진단 영상장비, 3억 달러의 의료용 소모품, 1.8억 달러의 치과제품 1.7억 달러의 전자 진단기기 순
◦ 주요 의료기기 규제기관으로 보건예방부(MOHAP), 에미리트 의약품청(EDE), 두바이보건청(DOHD), 아부다비 보건부(DOHAD)가 존재. ‘25년부터 의료기기 인증 기관이 연방보건부(MOHAP)로부터, 에미리트 의약품청(EDE)로 이관 되며, EDE의 권한이 강화 예정
◦ 주요 의료기기 기업으로는 M42, Purehealth, Thumbay Group, Julphar이 존재. 최근 M42, Julphar 등 정부 부처 차원에서 기업을 통합한 초대형 기업이 UAE에 나타나고 있으며, 다국적 기업과의 경쟁 중
◦ UAE 시장 진출 시, GCC 및 UAE 의료기기 인증 취득, 정부 조달 시장 접근, 디지털 헬스케어 및 AI 기반 의료기기 시장 공략, 의료관광과 연계한 진출전략, 현지 제조 및 투자 유치 검토 등이 필요
◦ 또한, KOTRA의 중동 네트워크를 활용, 의료기기 수입 동향 및 경쟁 분석, 현지 인증 정보 취득, UAE 내 아랍헬스 등을 활용하여 현지 네트워크의 접근이 필요
https://dream.kotra.or.kr/dream/kotra/actionKotraShortUrl/CUNWRsWlEVPZ.d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