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DOLKONG
트럼프 2.0시대 우리나라의 에너지정책 대응 방향 본문
트럼프 2기는 모든 정책에서 미국의 이익을 최우선으로 고려하는 ‘미국 우선주의(America First)’가 트럼프 1기보다 더욱 강화될 것으로 예상된다. 그러면 우리가 에너지정책에서 어떻게 대응해야 할지 알아보자.
o 화석 에너지
- (석유) 트럼프 행정부의 대미 무역수지 불균형 개선 요구 시 미국산 원유 구매를 확대하는 방안 고려
▶ 트럼프의 미국 우선주의 기조에 따라 대미 무역 흑자국인 우리나라에 대해 무역 불균형 해소를 위한 다양한 요구가 있을 것으로 예상
▶ 국내 미국산 원유 도입 비중은 ‘22년 기준 13.2%로 미국산 원유 수입을 확대할 여지는 있으나, 미국산 원유 도입 시 민간의 추가적인 운송비 부담에 대한 지원책 마련 필요 (가스) 미국산 LNG 도입 확대를 통해 가스 가격 변동 위험을 헤지하고 국내 수급 조절 역량을 제고
▶ 미국산 LNG의 「헨리 허브* 단일 연동방식」 혹은 「유가 – 헨리 허브 하이브리드 연동방식」 매매계약 체결을 통해 기존 「유가 연동 계약」과 혼합한 포트폴리오 구성하여 국제유가 급등에 따른 위험 회피 * Henry Hub : 북미지역의 대표적인 천연가스 가격지표
▶ 미국 LNG 수출프로젝트의 경우 대부분이 ‘목적지제한조항(수입국이 고정된 계약)’을 포함하지 않아 계약 체결 시 LNG 구매자의 수급 조절 능력을 제고할 수 있으며, 재판매도 가능하여 수익 창출도 가능
o 무탄소에너지
- (원전) 트럼프의 미국 우선주의가 원전 수출 및 SMR 개발에 미칠 영향을 주시하면서 미국과 협력 방안을 모색
▶ (대형 원전) 미국 우선주의에 대응하여 원전 수출 시 미국과 협력을 강화하는 수출 전략 고려
- 트럼프 2기에서 동맹국과의 협력보다는 자국 노형 중심 수출 등 독자적인 행보를 취할 시, 국내 개발 노형(APR1400, APR1000 등)의 수출에 악영향이 우려되므로 이에 대한 대응전략 마련 필요
▶ (SMR) 미국 내 SMR 사업추진 환경이 개선되어 관련 사업이 활성화될 전망이므로 전략적 투자, 건설 프로젝트 등 국내기업의 적극적인 참여 유도
- 미국 내 SMR 사업추진 여건 개선 → 투자 유치 증가 → 민간의 실증사업 진출 확대로 이어지는 선순환 형성 기대
- 국내기업의 미국 내 SMR 사업에 대한 전략적 투자, 건설 프로젝트 참여 등 선제적 대응을 통해 미래 SMR 시장 선점
- (수소) 국내 청정수소 생산·도입 기업들의 미국 블루수소 생산 프로젝트 적극 투자 및 프로젝트 참여 확대를 통해 국내 청정수소 도입 비용 최소화 노력
▶ 미국산 천연가스 가격하락 및 CCS 지원제도의 유지(혹은 확대)가 예상됨에 따라 블루수소의 생산단가 (LCOH)가 하락할 전망이므로 국내기업은 미국 내 블루수소 생산 프로젝트에 공동․단독 투자 등을 통해 청정수소 공급망 안정화 및 도입 비용 최소화
- (재생e) 트럼프 2기 행정부 정책을 지속 모니터링하고, 국내 제조업계의 영향을 최소화하기 위해 내수시장 중심의 국내기업 보호
▶ 트럼프 1기의 재생에너지 정책과 시장을 고려하여, 트럼프 2기의 재생에너지 정책 변화를 지속 모니터링
▶ 미국의 대중국 관세 상향 조정으로 우리나라를 포함한 미국 외 시장에서의 태양광 부품 저가 경쟁이 치열해질 것으로 전망되므로 국내 공급망 유지를 위해 정책적으로 지원
▶ 미국 해상풍력 시장의 진입 장벽이 높아질 경우, 우리나라가 대안시장으로 주목받을 가능성이 있으므로 정부와 기업 간의 협력을 통해 전략적으로 대응
- 터빈 수입 관련하여 국내기업들이 유리한 조건을 제시할 수 있어 해외 우수기업의 해상풍력 생산시설 국내 투자 유치를 통해 국내 공급망 구축 기회로 삼는 전략 검토
- 아울러 정부는 국내 공급망 유치 및 강화를 위해 세제 혜택과 금융 지원, 규제 완화, 국내기업과의 협력 지원 등을 고려
▶ 국내기업의 태양광 및 풍력 부품의 대미 수출 비중이 높으므로 해외수출 시장 다변화 모색
o 기후변화
- 탄소중립 대응에 대한 전 세계적인 동력은 유지될 전망으로 에너지․산업부문 저탄소 전환 노력을 지속
▶ 미국의 기후변화 대응 리더십 약화가 예상되나, 글로벌 탄소중립 및 기후위기 대응 동력은 유지될 전망
▶ 우리나라도 환경적․경제적 측면에서 에너지․산업 부문 저탄소 전환 노력을 지속
- 향후 저탄소 제품 생산이 국제 경쟁력의 중요한 요인으로 작용할 가능성이 높고, 이를 위해서는 산업부문 저탄소 전환이 필수
- EU의 탄소국경조정, 공급망실사법, 기후공시의무화 등 글로벌 기후규제 강화 추세에 효과적으로 대응할 수 있는 국내 제조업의 역량 강화
- 트럼프 2기 시대를 산업부문의 청정생산 전환을 위한 내부 역량 확보 기회로 삼아 포스트 트럼프 시대에 대비
o 종합
- 미국산 석유·가스 도입 확대를 통해 국내 수급 및 가격 안정을 도모하고, 미국 내 SMR·블루수소 사업에 적극적으로 참여하여 청정에너지 역량을 확충
- 견고한 재생에너지 공급망 관리 및 시장 다변화를 통해 국내기업을 보호하고, 비용경쟁력 있는 저탄소 제품 생산 역량을 확보
https://dream.kotra.or.kr/kotranews/cms/news/actionKotraBoardDetail.do?pageNo=1&pagePerCnt=10&SITE_NO=3&MENU_ID=70&CONTENTS_NO=1&bbsGbn=00&bbsSn=506,242,244,322,245,246,444,464,518,505,484&pNttSn=226827&recordCountPerPage=10&viewType=&pNewsGbn=506,242,244,322,245,246,464,518,505,484&pStartDt=&pEndDt=&sSearchVal=&pRegnCd=&pNatCd=&pKbcCd=&pIndustCd=&pNewsAll=&pNewsCd=506&pNewsCd=242&pNewsCd=244&pNewsCd=322&pNewsCd=245&pNewsCd=246&pNewsCd=464&pNewsCd=518&pNewsCd=505&pNewsCd=484&sSearchVa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