Notice
Recent Posts
Recent Comments
Link
«   2024/11   »
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15 16
17 18 19 20 21 22 23
24 25 26 27 28 29 30
Archives
Today
Total
관리 메뉴

DDOLKONG

2024년 하반기 주요 경제 이슈 점검(미국 대선, 긴축시대 종료, 중국의 과잉생산, 매크로레버리지) - 삼일PwC경영연구원 본문

투자

2024년 하반기 주요 경제 이슈 점검(미국 대선, 긴축시대 종료, 중국의 과잉생산, 매크로레버리지) - 삼일PwC경영연구원

DDOL KONG 2024. 9. 4. 01:49

1. 2024년 상반기 평가

전반적인 실적 호조로 ’24년 경제전망은 지속 상향 수정 중(지난 3년간 GDP 성장률이 지속 하향 수정되었던 점과 대비)

예상보다 견조한 미국∙중국 경기. 이에 힘입어 한국 성장률도 상향 조정

’24년 GDP 성장률 전망의 변화: ’23.10월 vs ’24.7월 (IMF) (단위: %)

글로벌 미국 EU 중국 일본 한국
2.9 → 3.2 1.5 → 2.6 1.2 → 0.9 4.2 → 5.0 1.0 → 0.7 2.2 → 2.5


국가별 성장률 전망 (단위: %)


2. 하반기 주요 이슈 분석

[이슈 1. 미국 대선: 결과에 따라 올해 가장 큰 변수]

민주당 대통령 후보 교체 이후 해리스 vs. 트럼프의 여론조사 격차가 축소되며, 박빙의 승부가 전개

후보별 주요 쟁점은 고율 관세 도입 / 소득세 및 법인세 개편 / ESG 대응 / 불법 이민 등

미국 우선주의(중국 견제)라는 점에서는 양 진영간 동일한 입장, 그 외의 영역은 극명한 입장차

각 후보별 주요 공약


[이슈 2. 긴축시대의 종료: 속도가 문제]

인플레이션 부담이 완화되며 각국 통화정책이 변곡점을 맞이하는 중

다만, 기준금리 인하 속도와 폭에 대한 시장의 기대가 지나치게 높은데, 글로벌 경제가 급격한 하강보다 완만한 조정기를 겪을 가능성이 높은점 고려시, 금리수준에 대한 과대한 기대는 금물

한국도 인플레이션 안정화 및 미국과 금리차 축소되며 하반기 금리인하 전망하나, 부동산시장 자극우려 등으로 속도는 빠르지 않을 것

[이슈 3. 중국의 중장기 성장여력 및 공급과잉]

중국경제는 유효 수요가 부족한 상황이나, 정부 정책은 공급측에 초점을 맞추고 있음

내수가 부진한 상황에서 공급 확대정책은 필연적으로 수출 증가 & 무역 상대국과의 마찰 초래 → 향후 글로벌 경제에 지속적인 부담으로 작용할 가능성 증가

중국 경제 발전 단계


[이슈 4. 한국의 매크로레버리지]

팬데믹 이후 글로벌 전반 레버리지 상승했으나, ’22년 이후 디레버리징 진행되어 ’20년 이전 수준까지 하락. 반면, 한국은 지속적으로 부채규모 확대 중

국내 명목 GDP대비 부채비율은 251%로 글로벌 평균(245%)보다 소폭 높은 수준(’23년 말 기준)

차주별로는 기업 114%, 가계 94%, 정부 44% 順. ’20년 이후 가계∙기업의 부채 증가가 가파름

기업부채를 업종별로 살펴보면 디스플레이∙건설∙에너지∙자동차∙통신의 부채비율이 부담. 특히 디스플레이와 건설은 ’21년 이후 부채비율이 더 높아진 상황으로, 금리상승기 이중고에 직면

업종별 부채비율 (단위: %)


3. 시사점

1. 글로벌 전체적으로 현재 예상보다 성장률 상향 전망. 특히 미국∙중국 경기가 양호하며, 이에 힘입어 한국의 성장 전망치도 상승

2. 디스인플레이션 + 노동시장 타이트닝 완화 → 긴축시대의 종료

3. 게임 체인저로 작동할 변수로는 미 대선, 중기적으로는 중국의 성장 경로

미 대선 후보별 정책 방향성은 고율 관세 / ESG / 소득세 및 법인세 / 이민 / 외교 등에서는 극명한 입장 차를 보이는 만큼, 하반기 최대 변수

중국의 정부 주도 & 공급 중심 기존 경제모델 변화 필요 → 유효수요 부족한 상황에서 지속적 공급 확대는 무역마찰 초래하며, 성장 모델의 한계 봉착

4. 한국은 체감경기로 확산할 수 있는 정책 변화 속도가 중요

글로벌 통화정책 발 리스크가 완화되는 것에 맞추어, 수출 증가가 내수 개선으로 전이될 수 있도록 경기회복에 초점을 맞춘 재정∙통화정책으로의 전환 필요

samilpwc_economic-issues-2h24.pdf
1.16MB



https://pwc.to/3Z1WEBD


Commen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