Notice
Recent Posts
Recent Comments
Link
«   2024/07   »
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15 16 17 18 19 20
21 22 23 24 25 26 27
28 29 30 31
Archives
Today
Total
관리 메뉴

DDOLKONG

이집트 라면 시장 동향 본문

투자

이집트 라면 시장 동향

DDOL KONG 2024. 5. 30. 03:25

한국 라면, 온오프라인에서 판매 확대 중, 특유의 면의 질감, 매운맛을 비롯한 다양한 맛을 선보이며 차별점 부각 중
이집트 라면 시장은 2023년 8700만 달로 규모로 최근 5년 평균 27.9% 성장, 향후 16.8% 성장 전망
까다로운 인증 통과, 일관된 가격 정책 등 대리점을 통한 수출 전략 필요하며 이집트를 생산 거점으로 중동아프리카 할랄 시장 공략도 볼 만 함


상품명 및 HS코드 (6개) : 190230

라면(기타 파스타)

이집트는 다양한 10~20대 사이에서 K-팝이 인기가 많고, 또한 젊은층과 중년층 사이에서 한국 드라마에 대한 인기가 꾸준하다. 한국 문화에 관심 있는 이집트인을 중심으로 한류 상품에 대한 관심이 서서히 확대되고 있다. 외교부가 발간한 지구촌 한류 동향 보고서에 따르면 이집트 한국문화원 주관 한식 아카데미 행사가 현지인의 인기가 많고, 최근 김치의 날 행사에 500여 명이 참석하는 등 관심층이 확대되고 있다. 또한 최근에는 한국 식당을 찾는 이집트인들을 쉽게 볼 수 있으며, 이들 사이의 인기 메뉴는 불고기, 잡채, 깐풍기, 짜장, 짬뽕 등이다. 최근에는 대형마트 및 고급 슈퍼마켓 등에서 제한적이나마 한국 제품 특히 라면 판매가 대중적으로 확대되고 있는 걸 볼 수 있고, 온라인을 중심으로는 고추장, 떡볶이, 김 등 그 영역이 확대되는 것을 볼 수 있다.

시장 규모 및 동향

유로모니터(Euromonitor)의 보고서(이집트의 쌀, 파스타, 면)에 따르면, 2023년 이집트 전체 면 판매 규모는 3억1000만 달러 규모이며 이 중 라면 판매액은 지난해 대비 47.8% 성장한 8700만 달러 규모로 파스타 다음으로 규모가 크다. 세부적으로는 봉지 라면이 92.9% 대부분을 차지, 컵라면 7.1%에 비해 압도적인 점유율을 보이고 있다. 다만 성장률은 컵라면이 61.1%로 봉지라면 46.9% 대비 10% 이상 높다. 이는 도시화로 인해 더욱 간편한 식단을 찾는 데 따른 것으로 보인다.

라면은 최근 5년간(2018-2023년) 평균 27.9%의 성장을 해 왔고, 향후 5년간도 16.8% 수준의 꾸준한 성장을 할 것으로 전망했다. 이는 최근의 높은 인플레이션으로 식자재 가격이 상승하면서 저렴하고 빠른 식사가 가능한 라면에 대한 수요가 늘고 있기 때문인 것으로 파악된다. 라면의 소비자 판매가는 $0.2~0.3 수준부터 형성되어 모든 소비자가 즐길 수 있는 식품으로 인식되고 있다.

라면 소비자들은 항상 새롭고 흥미진진한 맛을 추구한다. 이에 따라 인도미(Indomie), 켈로그(Kellogg's Noodles) 등과 같은 마켓 선도 브랜드는 다양한 맛을 개발하고 있으며 최근에는 소시지맛, 매콤한 맛 등 새로운 맛을 선보였다.

최근 라면에 대한 수요가 빠르게 증가하면서 라면은 투자 유망 분야로 성장했다. 2023년 출시 첫 해 큰 성공을 거둔 마카로넬라(Marcaronella)와 크노르(Knorr) 등 새로운 브랜드가 등장하고 있으며, 2023년 2분기부터 관세 완화 및 수출 통관 지연 문제가 해소됨에 따라 수입 라면이 다시 시장에 출시하고 있다.

수입시장 동향

이집트 라면 제조사는 이집트 로컬 브랜드 뿐 아니라, 인도미, 켈로그 등 해외 기업이 이집트에 진출하여 제조하고 있다. 이외 수입 시장 규모도 꾸준히 상승하며 2022년부터 약 95만 달러 규모로 전년도 42만 달러 대비 126.9%의 높은 성장을 하였고, 2023년에도 90만 달러 규모를 유지하고 있다.

국가별 수입 동향

국가별로 보면, 요르단으로 부터의 수입이 1위로 전년 대비 15.9% 성장한 49만 달러를 기록하며 수입 시장의 54.1%를 차지하고 있다. 2위는 레바논이 15만 달러로 전년 대비 37.9% 감소하였고 점유율은 16.5%를 기록하였고. 3위 튀르키예로부터는 12만 달러를 수입하여 수입시장의 12.9%를 차지하고 있다.

반면, 2023년 한국은 수입 순위 4위, 수출액 8만 달러 규모로 전년 대비 21.2%를 감소하여 점유율이 10.7%에서 8.9%로 다소 떨어졌다. 2022년 한국산 라면 수입액은 10만2000달러로 2021년의 2만1000달러 수준에서 385.6% 폭발적으로 성장했다. 이는 코로나로 인해 많은 사람들이 집에 머무는 시간이 늘어났고, 새로운 제품과 맛을 시도하는 경향에 기인한 것으로 팬데믹 기간 한국산 라면은 큰 인기를 누렸다. 이후 2023년에는 저렴한 가격으로 높은 시장 점유율을 보유 중인 인도미 등 현지 브랜드와의 경쟁으로 수입액은 다소 감소했으나, 2020~2021년 대비 약 4배 이상 상승한 수준을 유지해 팬데믹 이후에도 그 인기가 지속된다고 볼 수 있다.

한국 다음 수입국은 인도, 중국, 이탈리아 순이다. 이중 인도에서의 수입은 5.6만 달러 규모로 대폭 증가하였으나 수입액 변동이 큰 상황이다. 이외 국가에서는 수입액이 감소하는 양상을 보였다.

국가별 바이어 인터뷰

국가별 인기 브랜드의 수입 바이어 인터뷰를 통해 식품 선호 사유를 물었다. 요르단 Noodi 브랜드는 주로 레스토랑에서 사용하고 있어 다양한 요리 방법에 적용이 가능하여 인기가 높다. 튀르키예 Basak와 OBA Mie 브랜드는 할랄 인증을 취득하여 폭넓은 소비자를 확보하고 있고 양질의 식재료를 사용한다는 평가를 받고 있다. 한국 라면으로 삼양, 팔도, 농심 라면 등이 현지에서 판매되고 있으며, 특히 삼양 라면은 불닭 볶음면의 매운 맛이 인기가 많고 이외 치즈, 까르보나라, 짜장 맛 등 다양한 맛을 제공하고 있어 선택이 폭이 넓다는 평가를 받는다.

경쟁사 동향

이집트의 대표적인 라면 제조사는 인도미(Indomie)로 인도네시아의 라면 제조사가 현지에서 생산하고 있으며 라면 시장에서는 70.5%의 가장 높은 시장 점유율을 보이고 있다. 같은 이슬람 국가로 이집트 시장에 대한 접근이 용이하고 가격이 저렴하여 이집트 소비자들 사이에서 선호도가 높다. Mcaronella는 현지 식품 제조사로 2023년 처음으로 라면 생산을 시작해 2023년 약 10.2%의 시장점유율을 보이고 있다. 다음은 미국의 Kellogg가 2015년 현지 식품 회사를 인수하여 시리얼을 생각했으며 이후 아침 식사 대용 라면을 생산하여 인기를 끌었고 현재 약 9.4%의 시장을 점유하고 있다. 이외는 의미 있는 시장점유율을 보이는 제조사는 없다. 최근에는 온라인 판매를 집중적으로 하고 있는 Zumra가 아시아 식품 위주로 판매하며 두각을 나타내고 있다. 일부 식품은 자체 브랜드로 제조 판매하고 있으니 라면은 전량 수입하여 유통하고 있다. 한국 라면은 삼양, 팔도 등의 브랜드를 판매하고 있다.

현지 바이어들이 말하는 브랜드별 점유율은 Noodi, Basak, Obamie 등이 약 15%를 차지하고 있으며, 삼양 라면은 5%이며 나머지 80%는 Indomi, Macaronella, Kellogg's, Super Chef(중국) 등의 브랜드가 차지하고 있다. 라면의 가격은 브랜드, 원산지, 무게, 봉지나 컵과 같은 포장 사양 등 다양한 변수가 영향을 미친다. 한국산 라면은 현지 판매 중인 타 브랜드 대비 용량이 2배이며 가격 또한 약 1.5~2배 수준이다. 대체로 일반 소비자들은 가격이 높다고 인식하고 있으나 고유의 매니아층들 사이에서 주로 소비되는 것으로 파악된다. 한국 라면은 매운 맛이 주를 이루고 있고 이외에도 틈새라면, 치즈라면, 남자라면, 해물라면, 열라면, 너구리, 비빔면, 자장면 등 독특한 식감과 다양한 맛을 선보이고 타 브랜드와 차별점을 갖는다.

<주요 인스턴트 라면 경쟁기업>

상표사진원산지무게가격점유율
Noodi 
요르단70gU$1.0~1.59%
Basak, OBAMi 
튀르키예75gU$0.75~1.06%
삼양팔도 외
대한민국140gU$1.5~2.65%
기타80%

*적용환율: 1US$=46.97EGP
참고: 각 브랜드의 시장 점유율은 인터뷰에 응한 회사의 평가를 기반으로 함
[자료: Zumra Food]

유통 채널 구조: 외국 제조업체→현지 수입업체/유통업체/대리점→최종소비자

대부분의 외국 기업은 도소매 유통을 위해 이집트 내 현지 수입 및 유통업체 혹은 대리점에 의존하는 게 일반적인다. 이집트로 식품 수출 시 국가수출입총괄기구(GOEIC)의 공장 등록부에 등록해야 하는데, 그 절차가 매우 복잡하다. 따라서 외국 기업들은 동 절차를 용이하게 하고자 현지 대리점을 지정하는 것을 선호한다. 또한 현지 대리점은 현지 규정 변화에 대응이 빠르고, 기존 업체 외에 현지 도소매업체와 관계 구축에 능통할 뿐만 아니라 식품(할랄) 등을 소비자에게 직접 판매하는 소도매업체별 적절한 운송 수단을 갖추고 있어 대리점를 통한 수출이 용이하다. 일부 소매업체는 도매 혹은 소매업체에 높은 이윤을 지불하고 직접 수입하는 경우도 있으나, 앞서 언급한 현지 규정 및 요건, 등록, 검사 등의 번거로움이 많아 선호하지는 않는다.

이집트 시장에서 라면의 유통망은 대부분 오프라인을 통해 판매되고 있다. 대표적으로 까르푸와 같은 하이퍼마켓에서 한국 라면를 판매하고 있고, 그 외 고급형 체인 슈퍼마켓인 세우디(Seoudi), 오스카(Oscar), 고멧(Gourmet) 등에서 판매하고 있다. 최근에는 Zumra(Zumra.co.eg) 등 온라인 식품 전문 판매 사이트를 통해서도 구매가 가능하면 온라인 사이트에서는 라면 이외 고추장, 떡볶이, 김치통조림 등 더 다양한 한국식품을 볼 수 있다. 하지만 수요 대비 물량이 충분치 않아 재고가 없는 경우가 종종 있다.

수입정보 및 인증

수입관세 : 이집트는 수입 라면에 대해 30%의 관세와 5%의 부가가치세(VAT)를 부과한다.

수입규제 : NFSA(국가식품안전청)는 2019년 11월부터 식품 검사 및 인증을 담당하는 유일한 국가 기관으로 일반적으로 식품 수입에 필요한 서류는 ▲선하증권, ▲상업송장, ▲원산지 증명서, ▲ 수출/위생 증명서(FDA 자유 판매 증명서, 위생, 식물 위생 증명서), ▲식품안전검사원 인증서, ▲포장 목록, ▲보험 증명서, ▲수입 허가(이집트 수입업자에게 발급), ▲공급자에게 지불 이체를 권고하는 현지 은행의 지불 보증서

라벨링 요건 : 외국어 라벨 정보는 아랍어로 표기해야 하며, 번역 내용이 불일치 시 수입이 거절될 수 있다. 아랍어 라벨은 패키지에 인쇄하거나 영구 접착제로 붙일 수 있으며, 제품에는 제조일자 또는 유통기한을 두 개 이상 표시할 수 없다. 라벨 정보는 지우거나 긁거나 변경할 수 없다.

인증 및 할랄 표시 : 인스턴트 라면에는 이집트 표준 4767/2011(인스턴트 라면) 및 국제 표준 Codex Standard 249/2009가 적용된다. 즉 ‘할랄’이란 용어를 사용하기 위해서는 관련 지침을 준수해야 한다.

바이어 인터뷰를 통해 본 이집트 시장 진출 포인트

이집트 주요 바이어 인터뷰를 통해 이집트 라면 시장 진출 현황 및 방안에 대해 들어보았다.

Zumra Food : 다양한 아시아 식품을 수입 및 판매하고 있는 온라인 쇼핑 웹사이트 Zumra Food의 CEO인 M씨는 현재 삼양의 라면 제품을 한국 무역업자로부터 수입하고 있다. 그는 한국 기업이 이집트 ‘독점’ 유통업체 혹은 대리인을 지정해 가격 왜곡이 발생하지 않도록 노력할 것을 조언했다. 다수의 한국기업들은 독점 대리점을 지정하지 않고 이집트 시장에 수출하는 것을 선호하는데, 한국 수출자는 주문 수량에 따라 이집트 수입회사에 서로 다른 가격을 제시하고있어 이는 가격 왜곡을 초래해 최종 소비자의 구매 가격에서 불일치가 발생한다. 현재 Zumra에서는 삼양 라면을 약 $2.1에 판매하고 있으나 타 슈퍼마켓에서는 동일 제품이 $1.5에 판매되고 있다. 따라서 그는 한국 기업들이 이집트 시장에서 이러한 차이를 극복할 수 있도록 일관된 가격으로 상품을 판매하기 위해 노력할 것을 권고했다.

베이커리, 토르티야, 다이어트 및 당뇨병 예방 식품을 제조하는 King M은 Pizza Hut, KFC, Carrefour, Seoudi 등 유명 식품 체인점에 제품을 공급하고 있다. King M의 소유자 M씨는 특히 청소년을 중심으로 K-pop, K-드라마 등 한류가 유행하면서 한식을 찾는 현지인들이 많아졌다고 밝혔다. 그는 그중에서도 특히 매운맛과 면의 트렌디하며 흥미로운 조합인 한국의 라면이 가장 인기가 많다고 전했다.

마카로니, 면 및 스낵 제조업체 Oshka Macaroni & Dried Confectionary의 파트너 E씨는 바로 먹을 수 있는 냉동식품과 즉석면이 시간을 절약해 주는 인기 있는 식사 옵션이라고 말했다. 카이로 등 도시 인구의 바쁜 생활 방식과 직장, 학교 또는 대학에서의 바쁜 일정으로 인해 즉시 조리 가능한 파스타와 면 요리 형태의 간편식에 대한 수요가 늘고 있다. 1인분, 전자레인지용 팩, 밀키트는 맛이나 품질을 저하시키지 않으면서 편리함을 추구하는 소비자의 수요를 충족시킨다. 따라서 한국 라면 기업들에게 물만 부어 바로 먹을 수 있는 간편한 ‘컵라면’으로 이집트 시장을 공략할 것을 조언했다.

아랍 식량 자급자족 기관(Arab Establishment for Food Sufficiency)의 파트너K씨는 많은 이집트인들은 매운 음식을 좋아하는 동시에 면 요리를 좋아하기 때문에 매운맛과 면의 트렌디하고 흥미로운 조합을 제공하는 한국 라면이 다른 품목 중에서 가장 인기 있다고 밝혔다. 그는 더위에도 불구하고 소셜 미디어 플랫폼에서 '불닭볶음면 챌린지' 영상이 입소문을 타면서 특히 젊은 소비자들 사이에서 삼양 라면의 인기가 더욱 높아졌다고 설명했다.

마카로니 제조 및 수출 업체Misr Italy의 Y씨는 많은 소비자들이 한국 라면의 맛과 쫄깃한 면의 독특한 식감을 좋아한다고 밝혔다. 그는 또한 한국 라면은 강한 맛과 소스 혹은 다른 재료와 함께 사용하기에 좋기 때문에 많은 이집트인들은 한국 라면을 수프에 추가하거나 소고기, 닭고기 또는 채소와 함께 볶아 먹는 것을 즐긴다고 전했다.

시사점

인스턴트 라면은 비교적 저렴하고 편리한 식품으로 빠르고 쉽게 한 끼 식사를 준비할 수 있게 한다. 간편한 식사 솔루션을 찾는 바쁜 소비자에게 라면이 인기 있는 옵션이 되면서 그 수요가 증가해 판매량이 크게 늘 것으로 예상된다. 2024년 기준 약 1억800만 명의 인구를 지닌 이집트는 중동 및 아프리카 최대 인구 보유국으로 그 수가 계속해서 증가하고 있어 앞으로 라면의 수요도 함께 늘어날 것으로 예상된다. 이에 따라 이집트가 매력적인 시장으로 평가되면서 현지 식품 제조업체도 증가하고 있는 추세다. 이는 늘어나는 수요를 충족할 뿐만 아니라 평균 단가를 하향 조정해 현지 소비자 가계 부담을 덜어주고 있다.

완제품으로 수입되는 대부분의 식품은 이집트 수출입총괄기구(GOEIC)의 등록 및 이집트 국가식품안정청(NFSA)의 승인이 반드시 필요하며, 라면의 경우 30% 이상의 높은 수입관세가 적용된다. 이로 인해 한국에서 이집트로 라면을 수입하려면 그 절차가 매우 까다롭고 운송비, 관세 등이 추가되어 가격이 높아지면서 판매 경쟁력 확보가 쉽지 않은 바, 치밀한 마케팅 전략이 필요하다.

따라서 한국 기업은 이집트 라면 시장 진출을 위해 합리적인 가격으로 일관성 있는 가격 정책이 필요하고, 식품인 만큼 GOEIC 등록 절차, 할랄 인증 등 높은 진입 장벽을 적시에 해결하기 위해서는 현지 대리점을 통한 일관성 있는 판매 전략이 바람직해 보인다.

아울러 바이어들에 따르면 기존 라면과는 다른 한국 라면만의 면의 식감을 가지고 있고, 매운 맛을 비롯한 맛의 다양성으로 차별화되고 있어 이 특성을 잘 살릴 필요가 있다. 또한 아직은 봉지라면이 우세하지만 도시화가 진행될수록 컵라면에 대한 선호도도 높아지므로 컵라면 시장 선도 전략을 고려해 볼 수 있을 것이다. 마지막으로 중동 아프리카의 라면 시장 가능성을 타진해 보고 이집트를 생산 거점으로 한 중동•아프리카의 할랄 식품 시장을 공략해 볼 만 하다.



https://dream.kotra.or.kr/kotranews/cms/news/actionKotraBoardDetail.do?pageNo=1&pagePerCnt=10&SITE_NO=3&MENU_ID=170&CONTENTS_NO=1&bbsGbn=01&bbsSn=243,254,403,257&pNttSn=215731&recordCountPerPage=10&viewType=&pNewsGbn=&pStartDt=&pEndDt=&sSearchVal=&pRegnCd=&pNatCd=&pKbcCd=&pIndustCd=&pHsCode=&pHsCodeNm=&pHsCdType=&sSearchVal=

Commen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