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DOLKONG
K-뷰티 산업의 변화 - 삼일PwC경영연구원 본문
1. 2024 뷰티 산업 주요 트렌드 “6S”
Smart Beauty | AI, 빅데이터 등 첨단 기술을 활용하여 화장품의 기능성과 편의성을 향상시킨 제품의 등장 |
Self Care | 전문 미용 케어와 같은 고효능을 갖춘 반면 화장품처럼 편리한 접근성을 갖춘 홈 뷰티 디바이스 확산 |
Skinimalism | 스킨케어와 메이크업 단계에서 5개 이하의 제품을 사용하는 방식으로, 다기능 ‘하이브리드’ 제품 인기 |
Slow Aging | 고령화, 미세먼지 등 환경오염 문제, 팬데믹 시기 마스크 착용 등으로 트러블 완화 및 피부 보호에 대한 관심이 고조되면서 기능성 화장품이 부상 |
Sustainability | 각종 유해 성분을 포함하지 않은 클린뷰티와 포장재, 용기에 대해서도 재활용이 가능한 제품을 사용하는 지속가능 뷰티 트렌드 |
Social Marketing (SNS) | 팬데믹 이후 비대면 소비 기조에 더불어 소비자와의 소통 창구로서 SNS 활용한 마케팅 확산 |
2. 국내 화장품 시장 분석
화장품 밸류체인 별 매출 성장률
주) 브랜드는 아모레퍼시픽, LG생활건강, 애경산업, 클리오 합산/ ODM은 코스맥스, 한국콜마 합산, 부자재는 연우, 펨텍코리아 합산, 원료는 현대바이오랜드, 대성엘에스 합산
Source: 삼일 PwC경영연구원, 하나금융투자
화장품 산업 수출액 추이
Source: 한국보건산업진흥원, 삼일PwC경영연구원
- 밸류체인: 원료, 부자재, ODM/OEM, 브랜드 업체로 구성, 국내 부자재 및 OEM/ODM업체는 글로벌 수준의 경쟁력을 갖추었으며, 벤처 브랜드의 약진으로 더욱 수혜
- 시장: 온라인/H&B채널 강화로 진입장벽 낮아지며 소기업 편중 현상 심화. 세계 각국과 MZ세대에 세분화된 수요 대응 쉬워지며 수출 증가 및 다변화, 신흥시장 개척 이루어지는 중
- 채널: 오프라인은 H&B 스토어, 온라인은 플랫폼 채널 중심으로 변모
3. 글로벌 화장품 시장 분석
글로벌 시장의 믹스 변화 - 중국 ↓, 북미/아태지역 –, 중동 아프리카 ↑
주) 23년부터는 예상치
Source: Mckinsey, 삼일PwC경영연구원
- 글로벌 화장품 시장 규모는 ’22년 약 571조 원 → ’27년 770조 원(5개년 CAGR 6%)으로 성장 전망
- 지역별: 중국과 북미가 시장을 주도하는 가운데 중국 시장의 영향력은 축소되고 북미 시장의 지배력 확대 예측. 한국과 일본을 필두로 아시아∙태평양 지역도 최대 시장의 지위를 유지할 것이며 신흥 시장으로 중동∙아프리카 지역과 인도 시장이 떠오를 것으로 전망
- 제품: 절대적 시장 규모는 스킨케어, 수익성은 향기 제품, 신시장은 헤어 케어 기대감 증가
- 채널: 팬데믹 이후 이커머스 채널이 주류를 차지
- 중국 시장에서는 로컬 브랜드 확대로 수입 화장품 시장 자체가 축소되고 있는 한편, 미국 일본 시장의 MZ세대 수요를 충족할 수 있는 한국 인디브랜드 인기
4. 결론 및 Implication
- 최근 산업의 화두는 1) 지역별로는 중국 외 시장의 발달, 2) 유통채널상으로는 온라인 판매가 활발해지고 있다는 것, 3) 주요 소비층으로 MZ세대가 떠오르고 있는 동시에 인구 고령화가 이루어지고 있다는 것임
- 국내 화장품 업계는 인디 브랜드의 중국 외 시장 수출 증가 및 글로벌 온라인 유통 활성화로 성장 전망. 동남아, 일본, 미국으로 K-뷰티의 확산세 지속 중이며 시장별 차별화 전략 필요
- 화장품 산업의 지속 성장을 위해 화장품 브랜드, 유통업체 M&A등을 통한 글로벌 유통망 확보 필요
Commen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