Notice
Recent Posts
Recent Comments
Link
«   2024/05   »
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15 16 17 18
19 20 21 22 23 24 25
26 27 28 29 30 31
Archives
Today
Total
관리 메뉴

DDOLKONG

한국 제조기업이 꼭 알아야 할 베트남 스마트공장 트렌드 본문

투자

한국 제조기업이 꼭 알아야 할 베트남 스마트공장 트렌드

DDOL KONG 2024. 3. 16. 03:25

베트남 공장의 자동화는 ‘현재진행형’
정부 지원 힘입어 산업용 로봇·IoT 기술 도입 증가 추세


아직은 부분 자동화 단계인 베트남 스마트공장

베트남의 생산 자동화 시장은 제조, 자동차, 전자, 식품 가공 등 다양한 산업의 수요 증가에 힘입어 빠르게 성장하고 있다. 2023년 10월 테크사이리서치(TechSci Research)에서 발표한 ‘2028년 베트남 산업 자동화 시장 - 경쟁, 전망 및 기회’ 보고서에 따르면 베트남 산업 자동화 시장 규모는 2023년 28억1000만 달러를 기록한 것으로 추산되며 2028년까지 8.8%의 연평균 성장률을 달성할 것으로 예상된다.

한편 베트남자동화협회(VAA, Vietnam Automation Association)의 도 만 끄엉(Do Manh Cuong) 사무차장에 따르면 자동화 수준을 7단계로 분류할 때, 대부분의 베트남 기업들은 3~5단계의 자동화 공정을 운영 중이라고 밝혔다. 즉, 많은 베트남 로컬 기업들이 아직 부분적으로만 자동화를 실현했다는 것을 의미한다. 베트남에서 생산 자동화는 주로 글로벌 기업이 주도하고 있으며, 이는 베트남 제조업에 대한 국제적인 관심과 투자를 반영하고 있다.

또한 베트남자동화협회의 응우옌 꾸언(Nguyen Quan) 회장은 “베트남 현지 기업의 자동화 장비 분야는 매우 제한적인 수준으로, 베트남에서 제조되는 로봇은 소수에 불과하고 베트남 대부분의 기업이 해외로부터 자동화 생산 라인 장비와 로봇을 수입하고 있다”고 전했다. 또한, “베트남 내 로봇 공학 및 자동화에 대한 심층적인 교육과 연구는 아직 중점적으로 이루어지지 않고 있으며, 오래된 해외 기술이 재활용되고 있을 뿐“이라고 덧붙였다. 특히 베트남 기업은 제조 과정에서 요구되는 기술 수준이 아직 낮고, 인건비가 상대적으로 낮으므로 생산 공정 자동화의 필요성이 시급하지 않기 때문에 높은 수준의 자동화 공장은 대개 베트남에 진출한 글로벌 기업들이 투자를 늘리고 있는 추세다.

이에 총리는 ‘2030년까지의 과학·기술의 발전 및 혁신을 위한 전략’에 관한 결정문 제569/QD-TTg호를 승인했고, 이 결정문에서 자동화 기술은 우선적으로 육성해야 할 기술로서 강조되고 있다. 또한 에릭슨 그룹(Ericsson Group)의 연구결과에 따르면 2025년까지 글로벌 제조 거점(hub)의 67% 이상이 아시아·태평양 지역에 위치할 것으로 예상되며, 베트남은 현재 체결되어있는 16개의 FTA 덕분에 상당한 규모의 FDI를 유치할 수 있는 유리한 위치에 있다. 이러한 대외적인 여건은 향후 베트남의 스마트공장 및 자동화 장비 산업 진흥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칠 것으로 보인다.

두 가지 성장 동력, 정부 지원 및 첨단 기술 도입

'스마트공장(Smart Factory)'은 베트남 제조업에도 물결을 일으키고 있다. 베트남 스마트공장은 정부의 적극적인 지원과 산업용 로봇·IoT(Internet of Things, 사물인터넷) 등 첨단 기술 도입에 힘입어 더욱 성장할 것으로 전망된다.

(1) 산업 자동화에 대한 정부 지원

베트남 정부는 스마트 제조 산업의 발전을 최우선 과제로 삼고, 이를 지원하기 위한 정책과 이니셔티브를 시행하고 있다. 실제로 베트남 정부는 스마트공장에 사용되는 기술을 포함한 4차 산업혁명 기술의 적용을 감독하기 위해 ‘베트남 Industry 4.0 TF’조직을 구성하기도 했다. 정부의 이러한 노력은 기술 정책 연구기관인 옥스퍼드 인사이트(Oxford Insights)를 통해서도 인정받았다. 이 기관이 연초에 발표한 '정부 인공지능 준비 지수(Government AI Readiness Index)' 보고서에 따르면 베트남은 2023년 기준 조사 대상 193개국 중 59위를 차지했다. 구체적으로 베트남 정부의 2023년 인공지능 준비 지수는 2022년 53.96점에서 0.52점 오른 54.48점을 기록했다. 또한 동남아시아 권역 내에서도 베트남은 필리핀을 제치고 아세안 10개국 중 5위에 올라 전년 대비 한 단계 상승한 것으로 집계됐다.

베트남은 현재 AI 개발에 대한 국가 전략을 수립한 전 세계 60여 개국 중 하나이다. 이는 베트남 정부의 AI 개발에 대한 전폭적인 지원을 반영하며 베트남 스마트공장 구축에 유리하게 작용할 것으로 예상된다. 이외에도 제조업 강국인 베트남이 생산 자동화를 위해 어떠한 전략을 수립하고 정책을 추진하고 있는지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응우옌 푸 쫑(Nguyen Phu Trong) 서기장(서열 1위)의 국가주석(서열 2위) 임기(2018년 10월 ~ 2021년 4월) 중 스마트공장 관련 주요 의결 두 건이 발표되었다. 2018년에는 ‘2030년까지의 국가 산업 개발 정책 방향 및 2045년까지의 비전’에 관한 의결 제23-NQ/TW호에 서명하며 2045년까지 현대적인 산업화 국가로 거듭나겠다는 중요한 목표를 정하고 대전략(grand strategy)을 수립했다. 이 결의안에서는 스마트공장 도입와 제조 공정의 자동화가 강조되고 있다. 더 나아가 2019년, 응우옌 푸 쫑 서기장은 4차 산업혁명을 적극적으로 추진하기 위한 여러 지침과 정책에 관한 의결 제52-NQ/TW호를 승인했다. 이처럼 베트남 정부는 탑다운(Top-Down) 방식으로 과학, 기술 및 창의적 혁신의 개발과 도입을 가속하려는 의지와 행동을 보여 왔으며, 현재까지도 4차 산업혁명을 구현하기 위해 더욱 적극적으로 노력하고 있다.

2020년 6월에는 총리(서열 3위)가 승인한 ‘2025년까지의 국가 디지털 전환 프로그램 및 2030년까지의 비전’에 관한 결정문 제749/QD-TTg호가 발표되었다. 특히 이 결정문에는 스마트공장 개발을 촉진하기 위한 이니셔티브가 포함돼 있으며, 디지털 전환 프로그램에서는 스마트 제조 공정을 구현하기 위한 IoT, AI, 빅데이터 분석, 클라우드 컴퓨팅과 같은 디지털 기술의 도입을 강조하고 있다. 이어서 부 득 담(Vu Duc Dam) 전 부총리는 2020년 8월 ‘2021~2030년 기간 기업의 생산성 및 제품 품질 향상을 지원하는 국가 프로그램’을 승인하는 결정문 제1322/QD-TTg호를 공표했다. 이 결정문에는 디지털 전환 및 스마트 제조 관련 솔루션을 적용하는 기업을 지원한다는 내용이 포함되었다.

또한 총리는 ‘2030년까지의 AI의 연구, 개발 및 응용에 관한 국가 전략’에 관한 결정문 제127/QD-TTg호를 2021년 1월 26일에 발표했다. 이 전략은 AI의 연구, 개발 및 응용을 촉진하여 4차 산업혁명에서 AI를 베트남의 중요한 기술 분야로 만들어 사회 경제 발전에 기여하도록 하며, AI 연구· 개발 및 응용 분야에서 베트남을 세계적인 국가로 만드는 것을 목표로 설정했다. AI 전략을 시행한 지 채 2년이 되지 않았지만 베트남은 긍정적인 초기 성과를 거두고 있는 것으로 평가받고 있으며, 지난 수년간 베트남의 AI 분야 과학자와 연구자들의 공헌은 사회와 세계로부터 인정을 받고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2024년 1월 팜 민 찐(Pham Minh Chinh) 총리는 베트남의 IoT 산업을 성장시키는 데 필요한 인프라 구축 계획을 담은 결정문 제36/QD-TTg호를 발표했다. 이 계획에 따르면 2025년까지 베트남의 모든 첨단기술 산업단지 및 혁신센터는 최소 1Gbps(초당 기가비트)의 속도로 인터넷을 사용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이 결정문에서는 2030년까지 베트남 인구의 99% 이상이 5G 모바일 광대역 네트워크를 사용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목표로 하고 있다.

관련 상위법령이 제정됨에 따라, 관련 부처들도 발빠르게 정책을 마련하고 있다. 2018년 9월 베트남 과학기술부(MOST)는 4차 산업혁명 관련 연구 지원, 관련 기술 개발 및 적용을 위해 ‘2025년까지의 중요한 국가 과학기술 프로그램’을 승인하는 결정문 제2813/QD-BKHCN호를 발표했다. 이 프로그램은 베트남이 강점을 가지고 있는 4차 산업혁명의 핵심 기술에 대한 응용 연구와 상용화를 가속화하고, 일부 핵심 분야에서 새로운 관리 및 비즈니스 모델을 디지털화하고 적용하기 위한 시범 프로젝트를 지원하기 위해 만들어졌다.

한편, 베트남 산업무역부(MOIT)는 4차 산업혁명 시대를 맞아 기업들의 스마트 제조 공정 구축을 지원하기 위해 다양한 활동을 전개했다. 구체적으로 산업무역부는 산하 국영기업인 띠엔 퐁 플라스틱(Tien Phong Plastic JSC)에 스마트 창고 관리 시스템을 적용하기 위한 시범 모델 도입을 지원했다. 빈증(Binh Duong)에 소재한 마산 인더스트리얼 그룹(Masan Industrial Group)과 호찌민시에 있는 주이 떤 메카니컬(Duy Tan Mechanical)에도 스마트공장 모델 구축을 위한 산업용 IoT 솔루션을 지원하는 등 베트남의 혁신 및 디지털 전환 적용 방식을 개선하기 위한 직접적인 노력을 하고 있다.

또한 산업무역부는 최근 제조 및 가공업과 지원산업(supporting industry) 분야 베트남 기업의 인적 자원의 질을 향상하고 경쟁력을 강화하기 위해 다국적 기업 및 FDI 기업과의 협력 프로젝트/프로그램을 추진하고 있다. 예를 들어, 2022년 2월 베트남 산업무역부와 삼성 베트남은 50개 기업에 스마트공장 개발을 지원하고 2022년부터 2023년까지 약 2년 동안 100명의 베트남 스마트공장 컨설팅 전문가를 양성하는 것을 목표로 스마트공장 개발 협력 프로젝트를 진행한 바 있다.

이처럼 베트남은 공급망 재편의 수혜를 온전히 누리기 위해 중장기 관점에서 제조업 공정을 자동화하기 위한 정책적인 움직임이 감지되고 있다. 이러한 정책적인 지원에 힘입어 업계에서는 산업용 로봇, IoT 등 첨단 기술을 적극적으로 도입하고 있다.

(2) 산업용 로봇·IoT와 가까워지고 있는 베트남 공장들

산업용 로봇은 스마트공장 및 제조 자동화에 있어 핵심 요소이다. 이러한 상황에서 베트남의 산업용 로봇 시장은 제조업의 자동화 증가와 생산성 및 효율성 향상에 관한 관심에 힘입어 빠르게 성장하고 있다. 스태티스타(Statista)에 따르면, 2024년에는 시장 규모가 처음으로 3억 달러를 돌파할 것으로 전망된다. 다만, 산업별 산업용 로봇 채택률(adoption rate)에는 차이가 있다. 특히 다른 산업에 비해 전기·전자 산업에 로봇 기술이 더 많이 적용되고 있으며, 2024년 베트남의 전기·전자 산업 부문 산업용 로봇 시장 규모는 전체 3억 달러 중 2억 달러를 차지할 것으로 예상된다.

아세안(ASEAN) 역내 다른 국가들과 비교하더라도 베트남의 산업용 로봇 시장 잠재력은 풍부하다. Statista에 따르면 베트남은 싱가포르의 산업용 로봇 시장 규모를 추월한 2018년 이후에 시장 규모가 점차 확대되어, 아세안 주요국과의 격차를 넓힐 것으로 전망된다. 2023년 기준, 약 3억 달러에 달하는 베트남 산업용 로봇 시장 규모와 달리, 싱가포르는 1억7331만 달러, 인도네시아는 8810만 달러, 말레이시아는 6904만 달러 등으로 베트남에 비해 매출이 적었을 것으로 예측된다.

이와 같이 베트남 산업용 로봇 시장의 전망이 밝은 이유는 산업용 로봇 도입을 통한 제조 공정의 자동화가 정부의 정책 방향과도 일치하며, 이에 대해 현지 기업들도 큰 거부감이 없기 때문이다. 실제로 베트남 노동사회연구원(Institute of Labor and Social Affairs)과 맨파워그룹(Manpower Group) 베트남이 2020년 10월부터 12월까지 실시한 설문조사에 따르면 FDI 기업의 32%가 높은 수준(high) 또는 매우 높은 수준(very high)으로 첨단기술을 적용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63%는 중간 수준으로 적용하고 있으며 나머지 5%만이 낮은 수준(low) 이하로 첨단기술을 적용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동 설문조사에서 FDI 기업 중 94%는 2021~2023년(설문 시점 기준 향후 3년 내)에 생산 활동에 신기술 및 자동화 솔루션을 도입할 계획을 가지고 있었으며, 적용 계획이 없는 FDI 기업은 6%에 불과했다.

물론 아직까지는 현지 기업 대부분은 로봇 관리를 위한 숙련 노동력과 로봇 장비 도입에 필요한 자본 등이 부족해 현재 베트남의 산업용 로봇 시장은 자동화 및 정밀기계·정밀부품 분야로 유명한 일본, 독일, 스위스 등의 글로벌 기업이 주도하고 있다.

산업용 로봇뿐만 아니라, 산업용 IoT 시장도 향후 몇 년 동안 크게 성장할 것으로 예상되며, 베트남의 여러 제조 공장들도 IoT 기술 도입에 큰 관심을 보이고 있다. IoT 기반 스마트공장은 설비의 성능이 저하되는 것을 조기에 감지하여 적절한 시점에 정비를 수행하는 예지보전, 재고 관리, 품질 관리, 제조공정 관리 등 다양한 작업을 자동화하고 최적화할 수 있기 때문이다. Statista에 따르면 베트남의 산업용 IoT 시장은 2024년에 14억7000만 달러에 달할 것으로 예상되며, 2024년부터 2028년까지 17.27%의 연평균 성장률을 꾸준히 유지하여 2028년 말에는 27억8000만 달러의 시장 규모를 달성할 것으로 전망된다.

베트남에 진출해 있는 IoT 기술 관련 주요 기업으로는 아마존 웹 서비시즈(Amazon Web Services, 미국), 시스코 시스템(Cisco Systems, 미국), 리트머스 오토메이션(Litmus Automation, 미국), PTC(미국), 지멘스(Siemens AG, 독일), 소프트웨어(Software AG, 독일) 등이 있다. 비나밀크(Vinamilk), 제너럴 일렉트릭(General Electric) 베트남 등 일부 대기업은 최신 산업용 IoT 기술을 생산 공정에 적용하여 공장 운영을 자동화해 생산량을 극대화하고 공장 성능을 최적화하고 있다.

스마트공장 프로젝트 사례

베트남은 정부 주도, 민간 부문 간 협업 등을 통해 다양한 지역에서 스마트공장 개발을 적극적으로 추진하고 있다.

베트남 남부 지역, 특히 호찌민시와 빈증, 동나이(Dong Nai), 롱안(Long An) 주변은 베트남에서 스마트공장이 많이 분포하고 있는 산업 중심지로 꼽힌다.

이처럼 베트남의 주요 스마트공장 프로젝트는 글로벌 시장에 대한 접근성, 자본, 기술 등을 두루 갖춘 외국계 대기업이 주도하고 있다. 반면에 대부분의 베트남 기업은 자본, 기술 접근성, 숙련된 노동력이 제한되어 있어 완전히 디지털화된 스마트공장을 보유한 베트남 기업의 수는 매우 적다.

그럼에도 베트남 최대 민간 기업 빈그룹(VinGroup)의 자회사인 빈패스트는 디지털화된 스마트공장 시스템을 구현한 베트남 기업의 대표적인 예로, 빈패스트의 자동차 제조단지는 고도로 자동화된 제조 기술을 갖추고 있다. 베트남 최대 유제품 기업인 비나밀크도 생산 효율성과 제품의 품질을 높이기 위해 식품 가공 공장의 자동화 기술에 투자한 것으로 알려졌다.

전망 및 시사점

베트남은 아직 저렴하고 풍부한 노동력이 강점인 나라다. 그러나 임금이 매년 급격하게 상승 중이고, 공급망 제조 거점이라는 국가 브랜드를 구축하기 위해 정부 차원에서도 ‘스마트’ 기술 도입에 적극적이다. 이에 KOTRA 하노이무역관은 ‘2024 베트남 진출전략’에서 산업용 로봇을 수출유망품목으로 선정하고, 지난 기사를 통해서도 이에 대해 조금 더 자세히 다뤄본 바 있다.

물론 자동화 제조 공정 관리를 위한 숙련 노동력의 부족, 낙후된 인프라, 자본 접근성 제한 등의 요인으로 인해 베트남에 지금 당장 모든 공장을 자동화하는 데 있어서는 여전히 많은 어려움이 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베트남은 최근 급증하고 있는 제조업 부문의 FDI 자본을 토대로 향후 스마트공장을 육성하고 확대하기 위해 노력할 것으로 전망된다. 우리 기업은 이러한 트렌드에 발맞추어 다양한 스마트공장 솔루션 수출 기회를 찾아볼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https://dream.kotra.or.kr/kotranews/cms/news/actionKotraBoardDetail.do?pageNo=1&pagePerCnt=10&SITE_NO=3&MENU_ID=180&CONTENTS_NO=1&bbsGbn=243&bbsSn=243&pNttSn=213336&recordCountPerPage=10&viewType=&pStartDt=&pEndDt=&sSearchVal=&pRegnCd=&pNatCd=&pKbcCd=&pIndustCd=&pHsCode=&pHsCodeNm=&pHsCdType=&sSearchVal=


Commen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