Notice
Recent Posts
Recent Comments
Link
«   2025/02   »
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15
16 17 18 19 20 21 22
23 24 25 26 27 28
Archives
Today
Total
관리 메뉴

DDOLKONG

'아랍헬스 2025'를 통해 보는 UAE 헬스케어 산업 동향 본문

투자

'아랍헬스 2025'를 통해 보는 UAE 헬스케어 산업 동향

DDOL KONG 2025. 2. 12. 03:12

올해로 50주년을 맞이한 중동 최대 의료 전시회
180개국에서 3800개 이상의 기업 참가, 6만 명 이상의 의료 관계자 참석


2025년 1월 27일부터 30일까지 두바이에서 개최된 ‘아랍헬스 2025(Arab Health 2025)’는 올해로 50주년을 맞아 전 세계 의료 및 헬스케어 업계를 대표하는 중요한 행사로 자리 잡았다. 중동 최대 규모의 의료 전시회인 이번 행사는 두바이 월드 트레이드 센터(Dubai World Trade Centre)에서 4일간 진행됐으며, 180개국에서 3800개 이상의 기업이 참가하고, 6만 명 이상의 의료 관계자가 참석해 성황을 이뤘다.

올해 아랍헬스의 핵심 주제는 ‘미래 의료 혁신(Future of Healthcare Innovation)’으로, AI, 디지털 헬스, 지속가능성(Net Zero), 정밀의료 및 로봇기술을 중심으로 한 다양한 프로그램이 마련됐다. 특히 M42, EHS(Emirates Health Services) 등 UAE를 대표하는 의료기관 및 기업들이 주목받으며, AI와 지속가능성이 핵심 키워드로 부각됐다.

이번 전시회의 주요 프로그램으로는 ▲최신 의료 기술과 장비 전시 ▲국제 의료 컨퍼런스 및 세미나 ▲의료 스타트업 경연대회 ‘Innov8’ ▲글로벌 헬스케어 리더들의 네트워킹 행사 등이 포함됐다. 특히 AI 기반 의료 기술, 로봇 수술 시스템, 스마트 병원 솔루션, 친환경 의료 기술 등이 집중 조명됐다.

주요 키워드를 중심으로 살펴보는 ‘아랍헬스 2025’

이번 전시회는 AI, 디지털 헬스, 넷제로, 스마트 병원, 의료 데이터 혁신을 주요 키워드로 내세우며 의료 산업의 미래를 집중 조명했다. 최근 UAE는 스마트 헬스케어 솔루션과 지속 가능한 의료 혁신을 강조하며, 의료 인프라의 디지털 전환을 가속화하고 있다. 이번 전시회에서도 AI 기반 진단 시스템, 원격 의료 서비스, 의료용 로봇, 친환경 병원 솔루션 등이 대거 소개되며, 글로벌 의료 업계의 이목을 집중시켰다.

ㅇ AI 기반 의료 혁신

2025 아랍헬스에서 가장 주목받은 분야는 단연 AI를 활용한 의료 혁신이었다. 의료 AI 기술은 진단, 치료 계획 수립, 수술 보조, 의료 데이터 분석 등 다양한 분야에서 활용되고 있으며, 이번 전시회에서는 AI가 어떻게 의료 서비스의 정확성과 효율성을 향상시키는지에 대한 최신 기술이 공개됐다.

<AI 핵심 역할>

진단보조, 예측분석- AI 기반 영상분석 시스템은 방사선 영상(X-ray, MRI, CT)에서 암, 신경계 질환, 폐질환 등을 
  조기에 발견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함
AI 기반 로봇수술- 로봇 보조 수술 시스템(RAS: Robotic Assisted Surgery)은 기존의 개복 수술보다 정밀도가  높고, 
  회복 기간을 단축하는 효과를 보임

- CMC 두바이 병원의 다빈치 로봇 수술 시스템이 대표 사례로 소개됨
맞춤치료, 정밀의료- M42 포함 여러 기업이 유전체 데이터 분석을 통한 맞춤형 치료법 개발을 강조했으며,
  AI 기반 약물 개발도 혁신적인 발전을 이루는 중
AI 챗봇, 가상비서- 병원들은 AI 기반 의료 상담 시스템을 도입해, 환자들이 간단한 증상이나 건강관리 방법을
  AI 챗봇을 통해 확인할 수 있음

 
ㅇ 디지털 헬스케어

이번 전시회 내 UAE 주요 기업들이 참여한 세미나를 통해 UAE가 의료 접근성을 높이기 위해 디지털 헬스케어(Digital Healthcare) 기술을 적극적으로 도입하고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디지털 헬스케어 주요 혁신 요소>

전자건강기록(EHR) 
및 의료데이터 통합
- UAE의 ‘말라피(Malaffi)’ 프로젝트는 환자의 의료 데이터를 실시간으로 공유할 수 있도록 해, 
  환자가 어떤 병원을 방문하더라도 기존 진료 기록을 즉시 확인할 수 있도록 함
웨어러블 기기 및 원격 모니터링- 환자의 심박수, 혈압, 혈당 등을 지속적으로 측정해 의료진이 실시간으로 환자 상태를 모니터링
  할 수 있는 기술
DigiHealth 2025 개최 발표- 세계 최대 디지털 헬스케어 행사 ‘DigiHealth 2025’가 오는 9월 두바이에서 개최될 예정이며, 
  원격 진료, AI 진단, 데이터 보안 등이 핵심 주제로 다뤄질 전망
스마트 헬스 플랫폼- 리더 헬스케어(Leader Healthcare)는 환자 맞춤형 의료 교육 및 시뮬레이션 프로그램을 제공해 
  의료진의 역량을 높이는 기술을 소개함

 
ㅇ 넷제로(Net Zero) 헬스케어

헬스케어 산업은 전 세계 탄소 배출량의 약 4.4%를 차지하는 만큼, UAE 또한 넷제로 의료 혁신이 필수적인 과제가 되고 있다.

<넷제로 헬스케어 주요 전략>

탄소중립병원 설계- UAE의 그린 헬스 이니셔티브(Green Health Initiative)는 병원 내 에너지 소비를 최소화하고, 
  태양광 패널과 친환경 재료를 활용한 ‘탄소 중립 병원’ 구축을 목표로 함
의료 폐기물 감소 및 친환경 의료기기- M42는 재사용 가능한 의료 기기와 생분해성 소재를 활용한 의료용품을 개발해 병원 폐기물 
  감소 추진 중
스마트병원 시스템 도입- EHS(UAE 대표 의료기관)는 AI 기반 스마트 전력 관리 시스템을 도입해 병원의 에너지 사용을 
  최적화하는 솔루션을 공개

 
ㅇ 스마트 병원 및 원격의료

UAE는 AI와 IoT(사물인터넷)를 활용한 스마트 병원(Smart Hospital) 구축에 앞장서고 있으며, 원격의료(Telemedicine) 도입도 확대되고 있다.

<주요 스마트 헬스케어 기술>

스마트 병상- 환자의 상태를 자동으로 모니터링하고, 환자 움직임에 따라 침대가 조정되는 시스템 도입
5G 기반 원격의료- EHS는 5G 네트워크를 기반으로 한 실시간 원격 수술 기술 공개, 
  UAE 외곽 지역에도 최첨단 의료 서비스 제공 가능
AI 환자관리시스템- 환자 치료 경과 분석 및 최적의 치료 방법 추천 기능 도입

 
ㅇ 의료 데이터 혁신

의료 데이터 혁신은 AI, 블록체인, 클라우드 기술을 활용해 환자 정보를 효율적으로 관리하고, 의료 서비스 품질을 향상시키는 방향으로 발전하고 있다.

<주요 의료 데이터 혁신 사례>

AI 기반 의료 데이터 분석- M42는 환자의 유전체 및 생체 데이터를 활용한 맞춤형 치료 모델 개발 추진 중
블록체인 기술 활용 의료 데이터 보안- UAE 보건부는 환자 정보 보호를 위한 블록체인 기술 도입 확대 중
글로벌 데이터 공유 플랫폼- 아랍헬스 2025에서는 국경을 초월한 의료 데이터 공유 모델이 논의됐으며, 
  이를 토대로 국제 협력 강화 전망

 
우리 기업이 UAE에 진출하기 위해서는 현지 정부가 현재 의료 산업에서 추진하는 방향성을 살펴보는 것도 중요하다. UAE는 최첨단 의료 기술 도입과 지속 가능한 헬스케어 시스템 구축을 목표로 삼고 있으며, 이를 주도하는 대표적인 기관이 바로 M42다.

M42, UAE 의료 AI 혁신의 중심

M42는 UAE의 디지털 헬스케어 및 AI 의료 혁신을 선도하는 글로벌 헬스케어 기업으로, 정밀 의료, 유전체 분석, 첨단 진단, 임상 연구, 친환경(Net-Zero) 헬스케어를 기반으로 전통적인 의료 시스템을 혁신하고 있다. 특히 AI 기반 정밀 의료, 디지털 진단 기술, 환자 맞춤형 치료 솔루션을 통해 의료의 패러다임을 치료 중심에서 예방 중심으로 전환하고 있으며, UAE 정부가 추진하는 넷제로 정책과도 긴밀히 연계해 지속 가능한 헬스케어 시스템을 구축하는 데 중점을 두고 있다.

M42는 클리블랜드 클리닉 아부다비(Cleveland Clinic Abu Dhabi), 아부다비 무어필즈 안과 병원(Moorfields Eye Hospital Abu Dhabi), 임페리얼 칼리지 런던 당뇨병 센터(Imperial College London Diabetes Centre) 등 세계적인 의료 기관을 운영하며 글로벌 수준의 의료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으며, UAE 국가 유전체 프로젝트(Emirati Genome Programme), 아부다비 바이오뱅크(Abu Dhabi BioBank), Malaffi(아부다비 건강 데이터 서비스) 등을 통해 의료 데이터 기반의 혁신적인 연구 및 치료법 개발을 주도하고 있다.

한국기업 참가 현황

이번 전시회에 참가한 한국기업은 총 195개사이며, 보건복지부와 한국보건산업진흥원이 공동 주관해 한국관을 운영했다. 현재 UAE 현지에는 한국보건산업진흥원이 진출해 있어, 의료기기 산업의 중동 시장 진출의 교두보 역할을 하며 현지 병원 및 의료기관과의 협력 등을 지원하고 있다.

업계 관계자 A씨는 KOTRA 두바이 무역관과의 인터뷰에서 “중동에서 한국 의료 AI에 대한 선호가 높은 편이며, 기술력뿐만 아니라 가격 경쟁력 측면에서도 강점을 보이고 있다”라고 말했다. 그는 이어 “특히 UAE를 포함한 GCC(걸프협력회의) 국가들은 의료 서비스의 디지털 전환과 AI 기반 의료 솔루션 도입을 가속화하고 있어, 한국 기업에는 유망한 시장이 될 수 있다”라고 덧붙였다.

UAE 헬스케어 시장, 한국 기업이 노려야 할 기회는?

UAE가 중동을 넘어 글로벌 헬스케어 혁신의 중심지로 자리 잡으면서, 이 시장에 진출하려는 한국 기업들의 관심도 덩달아 높아지고 있다. 의료산업이 단순한 치료의 개념을 넘어 AI, 빅데이터, 디지털 헬스케어, 정밀 의료 등과 융합되면서 새로운 형태로 진화하고 있기 때문이다. 특히, UAE 정부와 주요 의료기관들은 AI를 활용한 정밀 의료, 원격의료 시스템, 스마트 병원, 그리고 지속 가능한 친환경 의료 솔루션 구축에 속도를 내고 있어, 이에 대응할 수 있는 한국 기업에는 분명한 기회가 열려 있다.

UAE는 이미 AI와 빅데이터를 활용한 정밀 의료 및 원격의료 시스템에 대규모 투자를 진행하고 있다. 원격진료와 AI 기반 의료 영상 분석 기술이 빠르게 도입되면서, 환자 데이터를 실시간으로 분석하고 맞춤형 치료를 제공하는 것이 가능해졌다. 특히 UAE 내 대표적인 헬스케어 기업인 M42가 디지털 헬스 및 정밀 의료 프로젝트를 적극적으로 추진하고 있는 만큼, 한국 기업들이 이와 협력할 방법을 모색하는 것이 중요하다.

그 뿐만 아니라, UAE는 현재 스마트 병원 도입에도 속도를 내고 있다. 첨단 의료기술을 활용해 환자의 데이터를 실시간으로 분석하고, 효율적인 치료 시스템을 구축하는 것이 핵심 과제다. 예를 들어, 클리블랜드 클리닉 아부다비(Cleveland Clinic Abu Dhabi) 같은 주요 병원들은 AI 기반 스마트 병원 시스템을 적극적으로 도입하고 있으며, 환자 모니터링 및 데이터 분석 솔루션에 대한 수요도 빠르게 증가하고 있다.

하지만 기회가 많은 만큼 해결해야 할 과제도 만만치 않다. 무엇보다도 UAE의 의료 규제 및 데이터 보안 요구사항을 충족하는 것이 필수적이다. UAE는 의료 데이터 보호 및 공유와 관련해 엄격한 규제를 시행하고 있으며, M42가 운영하는 ‘말라피(Malaffi)’ 플랫폼을 통해 의료 데이터의 디지털 혁신을 추진하고 있다. 따라서 한국 기업들은 UAE의 의료 데이터 규제를 준수할 수 있는 기술을 개발해야 하며, 보안이 강화된 의료 데이터 관리 솔루션을 제공할 수 있어야 한다.



https://dream.kotra.or.kr/dream/kotra/actionKotraShortUrl/PyCc632aI1wZ.do

Commen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