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DOLKONG
성장하는 튀르키예 전기차(EV) 시장에서 포착하는 기회 본문
TOGG, VERY, Amperino 등 튀르키예 자체 전기차(EV) 브랜드의 수 증가
큰 성장에도 충전 인프라 수요 등 여전히 상존
전기차 산업 동향
튀르키예의 전기차(EV) 시장은 소비자 수요 증가, 정부 지원, 그리고 EV 충전 인프라 투자 확대에 힘입어 빠르게 성장하고 있다. 현재 시장 가치는 약 430만 달러로 추정되며, 향후 몇 년간 확대될 전망이다. 그러나 수요 증가 속도가 인프라 확충보다 빠르게 진행되고 있는 것이 현실이다. 정부와 민간 부문은 시장의 성장 가능성에 대해 긍정적인 입장을 유지하고 있다.
자국 브랜드들이 입지를 다지기 위해 노력하는 가운데, BYD와 테슬라 같은 글로벌 기업들과의 치열한 경쟁이 불가피할 것으로 예상하고 있다. 튀르키예 정부의 2053년 탄소 배출 제로 목표를 위한 정책적 지원이 지속되면서, 시장은 안정적인 성장세를 이어갈 것으로 보인다.
높은 수준의 국내산 전기차 점유율
2024년, 튀르키예의 전기차(EV) 시장 매출은 43억 달러에 달했다. 2025년에는 배터리 전기차(BEV) 부문에서 49억7000만 달러의 매출이 예상되며, 2025년부터 2029년까지 연평균 성장률은 14.1%로, 2029년에는 약 84억1000만 달러에 이를 것으로 전망된다. 2024년 튀르키예의 전기차 판매량은 10만5315대로, 2023년 말 판매량인 7만2179대보다 45.9% 증가했다. 전체 자동차 판매에서 전기차가 차지하는 비율은 10.7%로 상승했으며, 국산 전기차 브랜드인 TOGG가 튀르키예에서 가장 많이 판매된 브랜드로 자리 잡았다.
2023년에 생산을 시작한 TOGG T10X 모델은 큰 인기를 얻으며 2024년에는 3만93 대가 판매돼 지난해 대비 53.6% 증가했다. 테슬라는 1만1534대를 판매하며 시장 점유율 11.6%를 기록했고, BMW는 1만181대를 판매해 10.2%의 점유율로 3위를 차지했다. 한국 자동차 제조업체인 KG 모빌리티와 현대차도 두각을 나타내며 각각 5위와 6위를 차지했다. 현지 판매 매장 T 사 A매니저는 무역관과의 인터뷰에서 "우리 매장의 전체 판매량 중 25%가 전기차 모델이다" 라고 밝혔다.
중국 자동차 제조업체 BYD는 3800대 판매에 그치며 시장 점유율 3.8%로 8위를 기록했다. 이는 중국산 수입차에 대한 세금 인상이 주요 원인으로 분석된다. 2023년부터 모든 중국산 전기차 수입에 40%의 추가 세금이 부과되고 있으며, 2024년 12월 31일 공식 관보에 발표된 새로운 규정에 따라 중국산 하이브리드 차량에 대한 추가 세금이 40%에서 50%로 인상됐다.
<튀르키예 전기차(EV) 시장 점유율>
(단위: 대, %)
순위 | 기업명 | 판매량 (2024년) | 점유율 |
1 | TOGG | 30,093 | 30.25 |
2 | TESLA | 11,534 | 11.59 |
3 | BMW | 10,181 | 10.23 |
4 | MERCEDES | 5,164 | 5.19 |
5 | KG Mobility | 5,094 | 5.12 |
6 | HYUNDAI | 4,945 | 4.97 |
7 | PEUGEOT | 4,435 | 4.46 |
8 | BYD | 3,800 | 3.82 |
9 | MINI | 3,635 | 3.65 |
10 | OPEL | 2,671 | 2.68 |
튀르키예 소비자들이 전기차(EV) 구매 시 가장 우려하는 점은 충전소의 가용성과 주행 거리다. 이에 대응해 EV 충전 네트워크가 빠르게 확장되고 있다. 2024년 12월 기준, 튀르키예 전역에는 총 2만5096개의 충전소가 설치돼 있으며, 이는 2023년에 비해 134.5% 증가한 수치다. 이 중 30%는 DC 급속 충전기고, 나머지는 AC 충전기다. 이스탄불이 7641개의 충전소로 가장 많은 수를 보유하고 있으며, 그 뒤를 이어 앙카라가 3062개, 안탈리아가 1527개로 각각 2위와 3위를 차지하고 있다. 정부의 전망에 따르면, 2030년까지 튀르키예에는 130만 대의 전기차와 14만2000개의 충전소가 설치될 것으로 예상된다.
판매 증가에도 불구하고, 튀르키예의 높은 인플레이션 상황 속에서 가격 경쟁은 중요한 문제가 될 것으로 분석되고 있다. 다양한 가격대의 전기차 모델에 대한 수요가 증가함에 따라, 시장에 새로운 업체들이 진입하고 있으며, 이에 따라 충전 인터페이스와 결제 시스템의 표준화 필요성도 점점 더 중요해지고 있다.
그린뉴딜 정책, 탄소 배출 제로와 조화를 이루는 산업 정책
튀르키예는 그린 뉴딜 정책과 탄소 배출 제로 목표의 일환으로 전기차(EV) 전환에서 중요한 진전을 이루고 있다. 이 전환의 핵심 단계로, 2024년 12월 1일자 공식 관보에 발표된 '완전 자율 주행 차량의 자율 주행 시스템 및 자동차형 승인 규정(EU/2022/1426)'이 도입됐다. 해당 규정은 튀르키예가 유럽연합(EU) 기준을 충족하도록 하며, 자율 주행 차량의 안전, 환경, 데이터 보안 요구 사항을 명확히 규정하고 있다.
이 규정은 전기 및 자율 주행 상업용 차량, 특히 중형 트럭과 버스의 도입을 촉진하는 것을 목표로 하며, 물류 산업에 큰 변화를 가져올 것으로 기대된다. 또한, 전기 버스 및 스마트 대중교통 솔루션 개발을 지원함으로써 튀르키예 자동차 산업의 주요 수출 시장인 유럽의 증가하는 기술 수요에 대응하고 있다. 이러한 발전은 스마트 교통 시스템(AUS) 프로젝트를 추진하려는 튀르키예 정부의 노력과도 부합하며, 개인 및 상업용 교통 인프라에 스마트 기술을 통합하는 것을 목표로 하고 있다.
투자 인센티브
2024년 7월, 튀르키예 정부는 전기차(EV) 및 배터리 기술을 포함한 첨단 기술 분야를 지원하기 위한 HIT-30 프로그램을 발표했다. 이는 전기차 프로젝트를 위한 50억 달러 규모의 인센티브 패키지를 제공한다. 이 패키지에는 세금 면제, 최대 80%의 세금 인센티브, 고용 지원, 토지 할당, 그리고 최대 15%의 보조금이 포함된다.
자격을 갖춘 프로젝트는 배터리식 전기자동차(BEV) 및 플러그인 하이브리드 자동차(PHEV)를 포함해 연간 최소 15만 대의 전기차 생산 능력을 확보해야 하며, R&D 센터 설립 및 높은 현지화율 달성을 목표로 해야 한다.
전기차(EV) 인센티브 패키지 외에도, 이 프로그램은 배터리 투자 지원도 포함하고 있으며, 최대 45억 달러의 지원이 제공된다. 이 지원에는 최대 25%의 보조금, 최대 60%의 세금 인센티브, 그리고 기타 재정적 혜택이 포함된다. 지원 대상 프로젝트는 최소 5GWh의 생산 능력을 갖춰야 하며, 차량 및 에너지 저장 배터리, 활성 소재, R&D 센터 구축에 중점을 두어야 한다. 또한, 배터리 산업의 성장을 촉진하기 위해 2030년까지 MWh당 최대 6000달러의 보조금이 제공될 예정이다.
한편, 튀르키예에서는 모든 차량 구매 시 부가가치세(KDV)와 특별소비세(ÖTV)의 적용을 받는다. 모든 전기차 모델에는 20%의 부가가치세가 부과되며, 특별소비세(ÖTV) 세율은 차량의 엔진 출력과 세금 기준에 따라 다르게 적용된다. 예를 들어, 엔진 출력이 최대 160kW이고 세금 기준이 145만 TL을 초과하지 않는 전기차의 경우, ÖTV 세율은 10%로 설정된다.
<전기차(EV) 특별소비세 세율>
엔진 출력 | 세금 기준 | 특별소비세(ÖTV) | 부가가치세(KDV) |
최대 160kW | 세금 기준이 145만 TL을 초과하지 않는 경우 | 10% | 20% |
최대 160kW | 세금 기준이 145만 TL을 초과하는 경우 | 40% | 20% |
160kW 초과 | 세금 기준이 135만 TL을 초과하지 않는 경우 | 50% | 20% |
160kW 초과 | 세금 기준이 135만 TL을 초과하는 경우 | 60% | 20% |
한국산 전기차 수입 비중 꾸준히 증가
2024년 11월까지 튀르키예의 전기차(EV) 총 수입액은 23억 달러에 달했다. 주요 수입국으로는 독일이 12억 달러로 가장 큰 비중을 차지했으며, 한국은 3억2590만 달러, 프랑스는 1억5600만 달러를 기록했다.
<3개년 튀르키예 전기차 (HS Code 870380 for EV) 수입 현황>
(단위: US$ 천)
순위 | 국가 | 2022 | 2023 | 2024 |
Total | 490,108 |
2,227,815 |
2,336,011 |
|
1 | 독일 | 315,505 |
1,139,124 |
1,197,559 |
2 | 대한민국 | 10,625 |
55,935 |
325,923 |
3 | 프랑스 | 25,436 |
219,025 |
156,109 |
4 | 영국 | 4,974 |
160,374 |
145,265 |
5 | 스페인 | 3,480 |
102,589 |
135,073 |
6 | 헝가리 | 7,784 |
76,389 |
108,208 |
7 | 벨기에 | 21,745 |
120,107 |
76,857 |
8 | 중국 | 84,162 |
220,585 |
65,560 |
9 | 체코 | 45,205 |
||
10 | 폴란드 | 12,451 |
42,583 |
한편, 튀르키예는 글로벌 자동차 제조업체들의 현지 전기차 생산시설 덕분에 수출 측면에서도 중요한 진전을 이뤘다. 2023년과 2024년 사이 전기차 수출은 8150만 달러로 617% 증가했다. 현재 튀르키예에서 생산되는 대표적인 전기차 모델로는 피아트 이지아, 피아트 피오리노, 포드 트랜짓, 현대 i10 등이 있다. 또한, 국산 브랜드인 TOGG는 2025년 하반기부터 유럽 시장 수출을 시작할 예정으로 알려져 있다.
<3개년 튀르키예 전기차(HS Code 870380 for EV) 수출 현황>
(단위: US$ 천)
순위 | 국가 | 2022 | 2023 | 2024 |
Total | 4,058 |
11,364 |
81,500 |
|
1 | 네덜란드 | 67 |
- | 32,900 |
2 | 영국 | - | 278 |
13,836 |
3 | 슬로베니아 | - | - | 8,726 |
4 | 벨기에 | 113 |
230 |
5,975 |
5 | 요르단 | 8 |
- | 4,294 |
한편, 전기차 충전소 수입은 2024년 11월 기준 12억 달러를 기록했다. 튀르키예 정부는 현지 생산 역량을 확대하고 국내 투자를 장려하기 위해 다양한 투자 인센티브 정책을 추진하고 있으며, 이를 통해 수입 의존도를 줄이려 하고 있다. 현재 ISO 15118 표준이 전기차 및 충전소 산업의 주요 기술 사양 프레임워크로 사용되고 있다.
국내 시장에서 입지를 다져가는 자체 브랜드
튀르키예에서는 TOGG, VERY, Amperino 등 국산 전기차(EV) 브랜드의 수가 증가하고 있다. 국산 브랜드 중에서는 TOGG가 가장 앞서 있으며, 현재 국내 시장에서 빠르게 입지를 넓혀가고 있다. TOGG의 첫 세단 모델은 2025년 출시 예정이다. 반면, 국산 신생 브랜드인 VERY와 Amperino는 2025년까지 대량 생산을 목표로 하고 있다.
2022년에 설립된 EVERY는 Yıldız Technical University와 연계된 YTU Teknopark에서 개발을 시작했다. 첫 모델은 350km 주행 거리와 DC 50kW 충전기를 통해 배터리의 80%를 25분 이내에 충전할 수 있는 승용차로 알려져 있다.
한편, Amperino는 소형 디자인의 3인승 컴팩트 차량을 개발하고 있으며, 현지화를 중점적으로 추진 중이다. 대부분의 핵심 부품을 현지 제조업체로부터 조달하며, 자체 소프트웨어도 개발했다. 이 차량은 150km의 주행 거리, 최고 속도 90km/h를 제공하며, 현지 조달을 확대할 계획이다.
시사점
튀르키예의 전기차(EV) 시장은 빠르게 성장하고 있지만, EV의 장기적인 전망, 가격, 충전 인프라, 그리고 소비자 인식과 관련된 몇 가지 과제가 존재한다. 튀르키예 시장에 진입하려는 외국 기업들은 지속적인 고물가 상황을 잘 파악해야 하며, 가격 동향을 면밀히 모니터링 해야 한다. 한국 기업은 우수한 품질과 신뢰성을 바탕으로 튀르키예 소비자들에게 더 안전하고 신뢰할 수 있는 제품을 제공한다면 시장 확대의 기회를 찾을 수 있을 것이다.
이스탄불을 비롯한 주요 도시 외 지역의 충전소 부족은 전기차의 광범위한 채택을 위한 큰 장애물이 되고 있다. 튀르키예의 충전 네트워크는 특히 도시 지역에서 빠르게 확장됐지만, 농촌 지역과 인구가 적은 지역에서는 여전히 큰 격차가 존재한다. 이로 인해 DC 급속 충전기와 모바일 충전소와 같은 휴대용 충전 솔루션에 대한 수요가 증가하고 있으며, 이는 튀르키예 소비자들 사이에서 인기를 끌고 있다.
또한, 전기차 배터리 수명은 튀르키예 소비자들이 우려하는 사항이다. 많은 소비자들이 10~15년 후 배터리 교체 비용에 대해 불확실해하고 있다. 종합적인 애프터 서비스, 보증 프로그램, 그리고 유연한 배터리 교체 옵션을 제공하는 기업은 소비자 신뢰와 충성도를 쌓는 데 유리한 위치에 있을 것이다. 현지 제조업체들과 협력하고 서비스 네트워크를 구축하는 것은 튀르키예 시장에서 성공하기 위한 중요한 요소가 될 것이다.
튀르키예 전기차 시장에 진입하는 것은 튀르키예는 물론 유럽과 중동을 포함한 지역 시장으로 확장할 수 있는 전략적 기회를 제공한다. 튀르키예의 빠르게 성장하는 전기차 시장과 우수한 물류 네트워크, 전기차 산업을 지원하고자 하는 정부 정책 등을 고려할 때, 향후 우리 기업들이 튀르키예 전기차 시장에서 다양한 기회를 찾을 수 있을 것으로 보인다.
https://dream.kotra.or.kr/dream/kotra/actionKotraShortUrl/VdZgbQ4INcen.do